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꽤장엄한코끼리
꽤장엄한코끼리

우리나라 코스피가 어디까지 갈거라 보시나요?

오늘 보니까 잘만하면 코스피 3000을 넘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코스피 3000 넘으면 그 이후 어디까지 갈거라고 보시나요? 이번에 랠리가 한국 주식이 저평가되어 있어서 외인들과 기관이 계속 매수를 하는거 같아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구체적인 목표 지점을 예측하기는 어려우나, 투자심리 개선과 유동성의 유입이 계속된다면 상승 여력이 유지될 수 있습니다.

    다만 세계적인 경제 환경과 거시경제적 변수가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3년간의 박스권이었던 2900선을 뚫고 잘 지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추가상승여력이 충분하다고 보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연말 3600선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연초만 해도 올해 우리나라 코스피 시장이 3천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한 사람은 없었으나, 새롭게 대통령이 선출되고 나서 분위기가 급변하며 1주일 내로 3천은 돌파할 것으로 보이며, 올해중으로 전고점을 넘어 3500까지도 상승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 올해 안에 3000은 넘겠다 싶었는데 벌써 3000이 목전이네요.

    다만 단기간에 너무 빠르게 오른만큼 쉽게 3000이 갈지, 가더라도 오래 유지할지는 의문입니다.

    3000을 쉽게 뚫어내면 다음 목표는 전고점인 3300선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주식은 저평가 되어 있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대만이나 일본의 PBR과 비교해보면 4000은 되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이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코스피의 경우 지금 현재 약 2900선에서 머물고 있습니다. 이러한 코스피의 주가가 박스권 상단에서 위치하고 주가가 일정하게 흐름을 유지하는 것은 오랜만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것은 이전의 각종 규제나 박스권 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컸으나, 이러한 내용이 변동이 되면서 관련 내용이 사라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이러한 매수세가 언제까지 이어질지를 보면서 투자를 하시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긍정적인 요소는 코스피 3000에 다가간다는 점이지만, 부정적으로 본다면 이러한 코스피에 대한 위치가 하락 반전한다면 그만큼 크게 하락을 할 수 도 있다고 생각하기 떄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코스피가 어디까지 가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전문가들은 우리 코스피 지수가 올해 안에 3,100 선을 돌파할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증시가 PBR 1배 미만의 저평가 상태에 놓여있다는 인식이 강합니다.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추진 의지, 상법 개정안 재추진 등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 환원 정책 강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저평가된 기업들의 가치가 재평가될 수 있다는 시각이 있습니다.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이 이 점을 주목하여 순매수를 이어가고 있다면, 충분히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고 보는 전문가들이 많습니다. 특히 반도체를 필두로 한 국내 주력 수출 산업의 실적 개선 기대감이 큽니다. 반도체 업황 턴어라운드가 가시화되고 AI 반도체 등 고부가가치 제품 수요가 늘어나면서 기업 이익이 증가한다면, 이는 주가 상승의 가장 강력한 동력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는 이번 상승장에 3000 이상은 굉장히 높은 확률로 넘어갈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올해 예정대로 주주친화적으로 상법이 개정된다면 코스피 신고가 돌파해서 3500 선정도 트라이 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매매하고 있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정확한 지수까지는 예측하기 어렵지만, 현재 기대가 되고 있는 상법 개정 이슈가 투자자들의 기대치를 충족시킨다면 전고점인 3300은 무난하게 돌파할 것으로 예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