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처서매직
처서매직

미국 90일 관세 유예 종료, 우리 대응은

미국이 트럼프 시절 도입한 관세 유예 90일 기한이 끝났다고 하는데요. 이후 관세율이 11~50%까지 다시 오를 수 있다는 얘기만 무성하고, 실무자가 준비할 사항이 산더미네요. 현장에서는 어떻게 움직이는지 아시는 분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상호관세 / 자동차 / 부품 관세는 15% 그리고 철강, 알루미늄 관세는 50%로 확정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현재 상호관세는 15%의 관세율이 적용되고 있기에 이에 맞춰서 계획을 세우시면 될 듯 하며, 아직 자동차 / 부품 관세는 변경시기가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이에 맞춰서 사업계획을 수립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90일 관세 유예가 끝나면서 수입 기업들은 관세율이 최대 50%까지 오를 수 있다는 불확실성 속에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상황입니다. 실제 현장에서는 세율 적용 시점에 맞춰 선적 일정 조정이나 사전 통관 시뮬레이션을 돌려 비용 변동을 확인하고, 일부 기업은 FTA 원산지 검토나 대체 조달처 탐색을 서두르는 모습이 보입니다. 또 재고 전략을 바꾸거나 고객사와 납품 단가 협상도 병행되는 경우가 많아 통관 실무자 입장에서는 준비할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닌 현실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관세 유예 조치가 끝나면 바로 세율 인상이 적용될 수 있어 기업 현장에선 긴장감이 큽니다. 수입업체들은 기존 계약 물량을 서둘러 통관하거나 선적 일정을 앞당겨 피해를 줄이려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수출기업도 납품 단가를 재협상하거나 현지 법인을 통해 우회 전략을 검토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일부는 FTA 적용 가능 품목을 다시 점검하며 원산지 증명 확보에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 물류비와 통관 지연 리스크가 동시에 커지기 때문에 운송 주선인이나 세관 대리인과의 협업도 강화되는 상황입니다. 당장은 현장마다 대응 속도가 달라 혼선이 적지 않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