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묘하게 부모 말을 잘 듣지 않으려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유치원생 아이가 점점 부모의 말을 잘 듣지 않을때, 왠지 무기력감이 들것 같은데요. 아이가 부모 이야기들을 효과적으로 듣게 하려면 어떤식으로 접근해야 할까요?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가 부모의 말을 듣지 않으려고 하니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 화를 내거나 언성이 높아지는 것은 자제해야겠습니다.
가정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ㅇㅇ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유아들을 가르칠 때는 일관성 있는 규칙을 정하고 거기에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고, 스스로 규칙을 지킬 수 있도록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유치원생 아이가 점점 부모의 말을 잘 듣지 않거나, 교묘하게 부모의 요구를 피하려고 할 때 부모 입장에서는 무기력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데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부모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주면 대화가 훨씬 더 원활해질 수 있습니다. 아이가 부모의 말을 듣지 않거나 무시하려 할 때, "지금 속상한 거구나.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 엄마랑 이야기해 볼까?"라고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그 기분을 이해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감은 아이와의 신뢰 관계를 쌓고 부모의 말을 듣게 만드는 중요한 열쇠가 됩니다.아이들이 부모의 말을 듣지 않을 때, 가끔은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결과를 경험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자기 물건을 정리하지 않으면, "장난감을 정리하지 않으면 10분 뒤에 장난감 놀이가 끝날 거야"와 같이 미리 결과를 예고하고, 그 결과를 일관되게 적용해 주세요. 이때 중요한 점은, 결과가 예상 가능하고 합리적이어야 하며, 감정적이지 않고 차분하게 적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이와 함께 가정 내 규칙을 세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아이에게 "우리 집에서는 어떻게 해야 좋을까?"라고 질문을 던지고, 아이가 동의할 수 있는 규칙을 세우게 하면 아이는 그 규칙을 더 잘 지키려고 노력할 수 있습니다. 이때, 규칙은 너무 복잡하거나 과도하지 않도록 하며, 간단하고 실현 가능한 것들로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때때로 아이들이 부모의 말을 잘 듣지 않는 이유는 대화의 타이밍이 맞지 않아서일 수 있습니다. 아이가 집중을 못 하는 상황에서 지시를 내리면 반응이 적을 수 있습니다. 일관된 규칙, 선택권 제공, 감정 조절 방법, 긍정적 강화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면서, 아이와의 신뢰 관계를 쌓아가며 해결해 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는 부모가 자기 감정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그들의 요구를 일관되게 적용할 때 점차적으로 부모의 말을 잘 듣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점을 참고하셔서 아이를 지도해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그럼 이만`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말을 잘 듣지 않아서 부모님이 무기력감을 느끼는 것은 정말 흔한 일입니다. 하지만 아이가 부모의 말을 잘 듣게 하려면, 몇 가지 접근 방법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우선, 부모가 아이에게 명확하고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는 부모가 어떤 행동을 기대하는지 정확하게 알지 못할 경우, 그 지시를 따르지 않거나 반항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부모가 한 번 말했으면 그에 대해 일관되게 반응하고, 아이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규칙을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이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기회를 주고, 아이의 의견을 존중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자율성을 느끼는 것이 부모의 말에 귀 기울이게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이렇게 해볼까?"라는 방식으로 선택지를 주면서 아이가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아이는 자율성을 느끼고, 부모의 말에 좀 더 긍정적으로 반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교묘하게 부모의 말을 듣지 않는 이유는
자아가 성립이 되었고 어느 정도 자신의 주장에 대한 호불호가 명확하기 때문 입니다.
우리 어른들이 이런 말을 하지요, 머리가 커서 그렇다 라고 그렇습니다.
아이는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 표현에 있어서 때로는 고집으로 때로는 말대꾸를 하면서 부모에게 자신의 감정을 어필하곤 하는데요.
하지만 아이가 부모의 말을 듣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을 한다면 습관이 되어 예절을 모르는 아이가 되어버리기 때문에 아이가 부모님의 말을 듣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하지 않도록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바로 잡아주어야 합니다.
아이가 부모님의 말을 듣지 않는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엄마.아빠가 말을 하는데 엄마.아빠의 말을 듣지 않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단호하게 말을 해주고, 왜 엄마.아빠의 말을 듣지 않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면 좋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