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진지한석화구이
진지한석화구이

아이에게 따뜻하고 멋진 부모가 되어주고 싶은데요. 어떻게 하면 가능할까요?

아기가 태어나 생각하고 또 생각했던 것인데요. 부모만 믿고 이 험한 세상에 태어난 아이에게 따뜻함과 행복한 선물해주고 싶습니다. 그러기 위해선 제가 의지할 수 있고 자랑스러운 부모가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하는데요. 어떻게하면 그게 가능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에게 따뜻하고 멋짐 부모님이 되어주시는것은 쉽지만 어렵습니다. 먼저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을 마음으로만 간직하지 마시고 표현을 해주셔야 되겠습니다. 사람들은 자기를 사랑해준다는것을 어렴풋이 느끼겠지만 이는 확실하게 표현해주는것만큼 확실한것은 없습니다. 따라서 말과 행동으로 표현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그리고 아이에게는 멋진 부모님이 되기 위해서는 사회생활에도 충실 해주셔야 되겠습니다. 가정의 울타리가 되어주기 위해서는 가정을 지킬 수 있는 돈을 벌기도 해야 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하시는게 쉽지 않겠지만 각오하고 만들어낸 아이를 위해서 열심히 살아 주셔야 되겟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따뜻하고 멋진 부모가 되어주기 위해서는 아이와 시간을 많이 보내 주시는게 필요한 것 같습니다.

    아이들의 어린시절 기억 속에 부모님들의 젊은 날은 가장 강하고 우러러 볼 수 있는 선망의 대상입니다. 행복한 추억들을 많이 만들어주시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대화도 많이 하시고 가족끼리 여행도 다녀오고 맛있는 것도 많이 먹고 좋은 것도 많이 보러 다니는 게 최선이 아닐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세상을 살아 가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 입니다

    부모님들이 이러한 사고 방식이야 말로 현대 사회에서 가장 필요하고

    실천하기 어려운 사항 입니다

    부모 자식 간에 유대감이야 말로 가장 중요 하다 말할 수 있지요

    가장 중요한 것은 서로 간에 소통 이라 말 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성장 함에 따라 빠른 속도로 자신의 자아를 보여 주곤 합니다

    세상에 대한 호기심도 매우 많습니다

    그로 인해 소통이 안 되고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아이의 말을 잘 들어 주고 이해 해줄 수 있는 마음 자세 입니다

    인내심이 매우 필요 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에게 따뜻하고 멋진 부모가 되기 위해서는 감정소통이 잘 되어야 하고, 아이와 애착관계 형성을 잘 이루어야 합니다.

    또한 앞서 언급했듯이 아이가 무엇을 원하는지 잘 케치하여 아이의 불편함을 해소시켜 주고,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봐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이에게 따뜻하고 멋진 부모가 되기 위해서는 진심으로 사랑하고 관심을 기울이며 항상 긍정적인 모델이 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감정을 존중하고, 일관된 지지와 격려를 통해 자아를 성장시키는 환경을 조성해 주도록 노력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부모님 자신도 행복하고 건강하게 관리하여 아이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때로는 친구처럼 때로는 등대처럼 부드러움과 일관된 기준을 가지고 대하시면 분명 의지하며 어른처럼 친구처럼 존중받는 부모님이 되실거라 생각합니다. 이런 고민을 하고 계시는 것 자체가 따뜻하고 멋진 부모님이신것 같아요. 멋지십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우선 아이에게 사랑을 주는 부모가 되어야합니다 강압적이고 권위적이기 보다는 따뜻한 말과 격려를 해주면서 아이 눈높이에서 대화를 하며 아이를 이해해주는 부모님이 된다면 아이에게 따뜻하고 멋진 부모님이 될겁니다

  • 안녕하세요. 오수진 보육교사입니다.

    스킨쉽, 눈맞춤과 함께 상호작용을 해주시며 아이와 신뢰감을 쌓고 아이의 울음과 행동에 대한 민감성, 그리고 아이를 감정적으로 대하지 않고 일관된 사랑의 마음으로

    함께해주신다면 매우 좋겠는데요.

    또한 아이가 커가는 과정에서 발달단계에 따라 적극적인 관심과 사랑은 정서적인 안정감을 주고 밝고 몸도 마음도 건강한 아이로 자라도록 도움을 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