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앵두주수
앵두주수

전봇대 위 전선에 새가 앉아도 왜 감전되지 않나요?

참새가 많이 전봇대 위에 있는 모습을 보고 있는데요..

엄청 무서운 전봇대 전선에는 항상 전기가 흐르고 있다고 들었어요...

그런데 새가 전선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뭔가요???

만약 사람이 전선을 만지면 감전된다고 하는데요!!!

새와 사람의 차이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새가 앉아 있는 전선과 땅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어서 그런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새가 전선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전압차와 관련이 있습니다. 전기가 흐르는 원리는 전압차가 있을 때 전류가 흐르는 것입니다. 새는 한 가닥의 전선에만 앉아 있기 때문에 전선의 다른 점과 비교해 전압차가 발생하지 않아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즉, 새의 몸을 통해 전기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감전되지 않는 것입니다. 반면, 사람이 전선을 만진다면 지면과의 전압차가 생기게 되며, 이로 인해 전류가 사람의 몸을 통해 흐를 수 있어 감전될 위험이 있습니다. 전기 작업을 할 때 항상 안전 장비를 착용하고, 지면과 절연된 작업을 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전위차 때문 입니다.

    감전은 주로 몸을 통해 흐르는데 새는 두 발이 한 전선에 있어 전위치가 발생하는 않는 이유 입니다.

    또한 새는 높은 저항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류는 일반적으로 낮은 경로에 따라 흐르는 현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람이 전선을 잡는다면 몸과 땅 사이에서 전위차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이는 지면과 연결되어 있어 전류가 몸을 타고 땅에 흐르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새가 전봇대의 전선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는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기 흐름의 원리와 전위차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전류가 흐르려면 반드시 전위차, 즉 전압 차가 필요합니다. 새가 전선에 앉아 있을 때, 새의 두 발은 같은 전선에 있기 때문에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류가 흐르지 않아 감전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사람의 경우 통상적으로 땅이나 다른 전선과의 접촉을 통해 전위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로 인해 전류가 흐를 수 있어 감전될 수 있는 것이죠.

    전선 위에 앉은 새는 단순히 하나의 전선만을 접촉하지만, 사람이 전선을 잡으면 다른 전선이나 지면과의 접촉에 의해 전위차가 생기기 쉬워집니다. 지면은 대체로 전위가 0에 가까워 전기적으로 대지와 연결될 경우 전위차가 확실히 생깁니다. 이것이 사람이 전선을 잡았을 때 위험한 이유입니다. 안전을 위해 항상 전기 주변에서는 조심해야 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문가입니다.

    새가 전봇대 위의 전선에 앉아도 감전이 되지 않는 이유는 전선과 새의 몸 사이에 전위 차이가 없기 때문입니다.

    전선은 이미 일정한 전압을 가지고 있어서 새가 전선에 앉는다고 해도 전류가 흐를 경로가 없습니다.

    하지만 사람이 땅에 서서 전선을 만지게 되면 사람의 몸이 땅과 연결되어 전위 차이가 발생하고, 그로 인해 전류가 몸을 통해 흐르게 되어 감전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새가 전선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새가 전선과 땅 사이에 전기적인 차이를 만들지 않기 때문입니다. 전기가 흐르려면 두 지점 간에 전압 차이가 있어야 하는데 새는 전선 위에만 있기 때문에 전류가 흐를 경로가 없습니다. 반면 사람이 전선을 만지면 땅과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어 감전됩니다.

  • 안녕하세요.

    새는 전선과 땅 사이에 전위차가 없기 때문에 감전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사람이 전선을 만지는 상황이라면 몸과 땅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전류가 흐릅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감전이 되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화 전문가입니다.

    새가 전선에 앉을 때, 전선과 땅 사이에 전압 차이가 없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감전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사람이 전선을 만지면 몸과 땅 사이에 전압이 생기고, 그로 인해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감전이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새는 전선 하나만 닿아 전위치가 없으므로 감전되지 않습니다.

    사람은 땅과 연결돼 전류가 흐르므로 감전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