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한국이 글로벌 혁신경쟁 1위라던데, 진짜 대단한걸까요?

최근 한국이 EU와 미국을 제치고 "가장 혁신적인 국가'로 평가받앗따는 보도가 나왔는데요.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결과 분석이라는데 이게 맞나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이 글로벌 혁신 1위 국가라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조사 결과로

    지재원 출원, R&D 고평가를 받아서 1위에 올랐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EC) 조사 결과 우리나라를 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국가로 꼽았는데요. 그렇지만 과학계 일각에선 EC 조사 항목이나 배점이 한국에 다소 유리하게 배정돼 있어 실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있어서 대단하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맞긴 맞습니다. 우리나라가 2024년 블룸버그 혁신지수에서 1위를 차지했는데요, 독일, 미국, 스웨덴 같은 국가들을 제친 건 꽤 의미 있는 일이긴 합니다. 특히 r\&d 투자 비율, 제조업 경쟁력, 특허 활동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고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이걸 공식적으로 언급했기 때문에 근거 없는 자화자찬은 아닙니다. 다만 한 가지 짚고 넘어갈 건, 이 지수가 실제 '생활 속 혁신 체감이나 '창업 환경의 유연성 같은 것까지 다 반영하는 건 아니라는 점입니다. 기업의 기술력이나 정부의 연구 투자에선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스타트업 생태계나 사회 시스템의 유연성은 아직 갈 길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래서 숫자로 보면 대단한 게 맞지만, 체감까지 완벽하냐고 묻는다면 아직 고민할 부분이 있다는 느낌도 듭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혁신 성과는 혁신 여건, 투자, 혁신 활동, 파급 효과 4개 부문,

    32개 지표를 통해 평가하여 1위를 기록하는 등 긍정적이나

    이것이 어떻게 작용할지는 아직 판단이 이른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UN 산하 WIPO의 글로벌 혁신지수에서 한국이 1위로 평가 받았고 특히 ICT 인프라, 특허, R&D 투자 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다만 GDP 대비 성과 효율이나 민간 창업 역량 등은 개선 여지가 있어 기술 중심의 혁신은 강점 , 경제확산은 숙제라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글쎄요 혁신이라는 것을 어디에 초점을 맞추는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비교대상이 유럽과 미국에

      비해 앞서가는 혁신 기술이 있다고 생각 되진 않습니다.

    • 그 이유는 우리나라의 혁신 기술이라고 할 만한 것들이 딱히 없고 유럽에 의존하는 기술을

      수입해오고 혁신 기업은 미국에 다수 있고 빅테크 기업들의 기술을 전세계가 활용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최근 유럽연합 진행위원회의 “2025 유럽 혁신 스코어보드”에서 혁신 성과 152.2점으로 글로벌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캐나다•중국•미국 등 주요국을 앞선 결과로, R&D 투자•지식재산권 출원 등에서 강점을 보여 8년 연속 EU 평균을 넘어섰습니다. 단, 국가경쟁력 기준으로는 27위에 머무르는 등 순위 지표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