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진실된고라니24
진실된고라니2423.08.02

한국의 남아선호사상은 어떻게 발전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와 다르게 남아선호사상이 상당히 강한 나라였는데요.

이 남아선호사상은 어떻게 유래되고 발달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02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부계 혈통을 중시하는 사회였기 때문에 남아선호사상은 한반도의 역사와 함께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으로 보입니다.

    남아선호사상은 부계제, 부권제 등의 부계혈통의 계승을 강조하는 전통적 가족제도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남아선호사상은 유교가 지배적인 사회에서는 물론 힌두교주 등의 다른 종교가 지배하고 있는 사회에서도 확산되어 왔습니다.

    남아선호사상은 남존여비로 표현되는 성차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또한 남아선호사상은 소자녀관 및 태아 성감별 등의 의료기술의 사용과 연결되면서 출생성비의 왜곡을 가져오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윤리적 · 사회경제적 결과 때문에 현대 사회에서 남아선호사상은 타파되어야 할 관념으로 비판받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식 종법에서 비롯된 것으로 중국은 3000년전부터 집안의 상속이나 제사와 같이 중요한 집안일을 모두 아들, 특히 장남에게 맡겼는데 그래서 집에 아들이 없으면 양자를 데려와서라도 가계를 잇게 했습니다.

    이것이 한국으로 넘어와 남아선호사상히 박히게 된것인데 이는 조선 건국자들의 사상 때문으로 조선의 건국자들은 중국의 문화를 좋다고 여겼고 각종 중국의 문화를 조선에 대입하며 중국의 남자에게 돌아가는 종법까지 대입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남아선호사상은 고려시대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에 이르러 유교의 확산과 함께 강화되었으며, 특히 조선시대 후기에 와서 직계가족제도가 강화됨에 따라 더욱 성행하게 되었습니다. 그 이유중의 하나는 제사를 지내는 것이 남자만 지내기 때문 이였는데 여성들은 시집을 가면 친정 부모의 제사를 지내지 않기에 그런 것도 이유중의 하나 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