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참신한호박벌102
참신한호박벌10223.01.10

현재 금리에 대하여 질문 들비니다.

현재 세계적으로 금리가 많이 상승하여,

우리나라도 금리가 많이 오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세계 시장이 안정이 된다면 우리나라 금리도 다시 낮춰질 수 있을까요?

금리 상승보다 낮추는게 더 어렵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세계의 경제정책 작게는 국내 경제상황에 맞게 금리 결정도 수행하게 됩니다.

    우리나라의 현재 금리가 꽤 높은 수준인 것은 사실이나, 현재는 물가상승을 압박하기 위한 카드로 사용되고 있으며 조금 시간이 지나게 되면 다시 금리인하의 결정을 할 날이 오게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 이후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시중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습니다. 앞으로도 국내외 경기 상황 및 물가 흐름 변화 등에 따라 추가적인 금리상승 압력이 있을 수 있으나,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의지 등을 감안할 때 상승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는 흔히 사이클이 있다고들 이야기 하게 됩니다. 경제가 사이클이 있다고 하게 되는 이유는 바로 '금리'로 인해서 발생하는 요인이 크다고 보시면 좋습니다. 경제 사이클에 대해서 간략하게 표현드리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인플레이션의 상승

    • 기준금리 인상

    •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대출금리 상승

    • 대출금리 상승으로 인해서 개인들의 이자비용 부담 증가

    • 이자비용 부담 증가로 인한 소비침체 발생

    • 소비침체로 인해서 기업들의 판매실적 악화 및 재고 증가

    • 기업들의 재고 증가로 인한 저가판매와 영업실적 악화

    • 생산원가 절감을 위한 구조조정

    • 경기침체 발생

    • 기준금리 인하 시작

    • 기준금리 인하로 인한 개인들의 이자비용 부담 감소로 대출수요 증가

    • 화폐량의 증가로 인해서 기업들의 판매실적 상승

    • 기업들의 판매실적 상승으로 임금상승 및 고용률 증가

    • 인플레이션 상승

    위와 같이 경기는 계속해서 순환된다고 보시면 좋습니다. 그렇기에 현재 지금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기업들이 실적이 악화되고 구조조정이 되고 있으나 인플레이션 억제가 끝나게 되면 이 경기침체에서 벗어나기 위해 금리를 인하하게 될 것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인플레이션'이 얼마나 빠르게 억제되느냐가 중요합니다.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억제될 수록 금리인하를 할 수 있는 시기까 빨리 돌아오기 때문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네, 현재 높게 형성된 CPI 등 어느정도 물가 안정 기조가 보인다면 금리를 다시 낮추어 경기를 어느정도 부양하고자 할 것이며, 낮추는 게 오히려 쉽습니다. 미래 경기 침체(리세션 등)가 발생할 여지가 생기면 선제적으로 금리를 내려 대응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우리나라도 낮아질 수 있으며

    향후 물가가 안정되고 경기침체 등이 일어난다면

    경기를 부양시키기 위하여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보이나

    그 시점은 알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