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분들의 약복용에 대해 궁금합니다
요즘 노인들이 약을 까먹고 안드시거나 먹었는데 또 먹는 경우가 많아져서 노인들을 위한 약통을 리디자인할 계획입니다. 제가 어리다보니 노인들은 어떤지 잘 모르겠어서 여쭙니다.
1.
약을 아침 점심 저녁으로 구분되어있는 약들이 많은가
-아침점심저녁으로 구분해놓는게 의미가 있을지
[월화수목금토일 안에 각각 아침점심저녁이 구분되어있음]
아님 차라리 월화수목금토일만 구분시켜놓는게 나을지
2.
하루치 약을 들고다니는게 편한지
일주일치 약을 들고다니는게 편한지
-하루치약이면 부피가 작아지고 들고다니기 편리/
일주일치 약이면 계속 약을 주기적으로 안채워줘도됨, 가방에 넣고다니기
안녕하세요. 박준하 약사입니다.
약은 사람에 따라 아침, 점심, 저녁약이 모두 다르게 처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아침/점심/저녁의 구분은 꼭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약국에서 약이 나갈 때 기본적으로 하루치씩 포장되어서 나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자체로 휴대성은 보장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행을 가는 것이 아니라면 일주일치씩 통채로 들고 다니는 노인 분들은 드물 것으로 예상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하루에도 여러번 약을 복용하는 분인지, 아침, 저녁 등으로 1~2회만 복용하는 분인지에 따라 다를듯합니다.
여러번 드신다면 약국에서 비닐에 포장해드릴텐데 이런 약통이 필요하지 않을겁니다.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보통은 포장해서 받으시기 때문에 요일만 구분되어있다면 포장된 상태로 두면 될 것 같습니다. 먹었는지 안먹었는지 헷갈릴 때가 잇는데 그 때는 요일별로 되어있다면 구분이 되겠죠.
안녕하세요.
약을 보관하는 통을 디자인중으로 보입니다. 환자마다 케이스는 천차만별이겠습니다. 아점저/ 아저/ 아점저 자기전 등 하루에 몇번 복용하는지 환자마다 다르겠습니다. 또한 아침에도 아침식전, 식후로 나누어 복용하는 분들도 있겠습니다. 하루 한번만 복용하시다가 하루 2회로 늘어나는 경우도 있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조작과 휴대가 불편하다면 실용성이 떨어질꺼라고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1.
약을 아침 점심 저녁으로 구분되어있는 약들이 많은가
-아침점심저녁으로 구분해놓는게 의미가 있을지
[월화수목금토일 안에 각각 아침점심저녁이 구분되어있음]
아님 차라리 월화수목금토일만 구분시켜놓는게 나을지
네 구분되어 있는 약들도 있기에 구분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하루치 약을 들고다니는게 편한지
일주일치 약을 들고다니는게 편한지
-하루치약이면 부피가 작아지고 들고다니기 편리/
일주일치 약이면 계속 약을 주기적으로 안채워줘도됨, 가방에 넣고다니기
일주일치 약을 챙기는 것이 매일 복용하는 것을 잊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성엽 약사입니다.
아침 / 점심 / 저녁으로 구분되는 약이 꽤 많습니다. 각각의 약이 복용하기에 적절한 시간대가 존재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복용 시간을 맞추는 경우도 많기에 시간 별 구분도 필요합니다.
약은 적절한 보관 상태가 아니면 기간에 따라 변질될 우려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특별한 보호장치 없이 외부에 계속 갖고 다닐 생각의 약통을 디자인 한다면 하루치 분량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만성질환약을 많이 복용하는 분들은 아침, 점심, 저녁, 취침전 등 여러가지 시간대에 복용합니다만 사람마다 다릅니다.
하루에 여러번 드시는 분들은 시간대별로 나뉘어져있으면 좋겠고, 하루 1~2번만 드시는 분들은 월~일 까지 나뉘어져있으면 좋겠네요.
안녕하세요. 박호현 약사입니다.
아침점심저녁으로 구분되어있는 약이 많은편입니다.
하루치 약을 들고다니는게 편하겠지만 채우는데 불편함을 겪으실 수 있을것으로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