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보름달빵단팥빵
보름달빵단팥빵23.09.14

동남아에서 향신료음식 문화가 발달하게된 이유가 있나요?

동남아를 여행가서 음식물들을 먹게되면 더운날씨에 향신료가 너무 들어가서 사실 우리나라 담백한 음식하고 정반대더군요 그런데 향신료 음식문화가 왜 동남아에서 발달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따지고 보면 과학적인 이유 때문입니다. 날씨가 더운 동남아시아에서는 음식을 오랫동안 보관하거나 풍미를 더하기 위한 방법으로 향신료를 많이 쓰게 된 것입니다. 또한 향신료는 음식을 만들 때 쓰이기도 하지만 각종 질병의 치료나 예방에도 널리 쓰였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향신료는 주로 고기의 냄새를 없애고 부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동양의 인도 기후는 더우니까 지금과 같이 냉장고가 없던 옛날에 어떻게 하면 고기나 야채 음식을 나름 상하지 않게 해서 먹을 수 있을까 연구를 하다가 카레 요리가 발달하게 되었습니다. 이같이 중국등어도 향신료 를 많이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코넬대학교 진화생물학자인 폴 셔먼 교수의 논문에 따르면 연평균 기온이 높은 나라일수록 음식에 들어가는 향신료의 수가 많다고 하는데요 기온과 향신료에 관계에 진화적인 이유는 향균가설로 설명 할 수 있는데 냉장고가 없던 시절 인류의 조상들에게는 요리에 향신료를 추가하는것은 생존에 매우 중요했다고 하며 그 이유는 향신료에 든 피토케미컬과 같은 화학 물질들이 더운 기온에 노출된 음식에 세균을 증식하거나 썩는 속도를 늦춰주기 때문이였다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14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남아 생활환경으로 인해 향신료 음식이 발달했습니다. 덥고 습한 날씨 때문에 음식이 빨리 상하는 것을 막기 위해 양념이 발달한 것이죠.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남아 에서는 예전 부터 생선 간장과 생선 젓은 음식이 부패하기 쉽고 많은 열량을 가진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적합치 않은 고온 다습한 자연환 경에서 사람들에게 필요한 염분과 단백질을 제공해 주기 위해 향신료가 식품으로 발달했다고 볼 수 있는데 동남아 음식문화의 특징 가운데 흔히 풍부한 향신료 사용을 드는 것 입니다. 향신료는 오랜 동안 동남아의 가장 중요한 특산물로서, 16세기 이후 유럽인들이 동남아에 진출한 주목적도 향신료 무역에 직접 참가하기 위한 것이었다.동남아 시장에서 유럽인들은 인도네시아 동부의 말루꾸(Maluku) 즉 향료 제도에서 정향, 육두구 등 잘 알려진 향신료뿐만 아니라, 생강, 타마린드 (tamarind), 심황(turmeric), 쿠베브(cubeb), 창포(calamus) 등 각종 약재와 향료들, 그리고 동남아 도처에서 풍부히 자라는 후추를 발경 하게 됩니다. 그밖에도 동남아 음식은 나륵풀(basil), 고수풀(coriander), 야생라임(kaffir lime), 레몬풀(lemon grass), 박하풀(mint) 등 각종 식용 풀잎을 사용해 왔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