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공자인데 전기산업기사 자격이될까요?
안녕하세요 체육대학교(일반체육) 4년제 졸업했는데 전기 기능사로 따야할지 전기산업기사로 따야할지 고민이됩니다
지금 실내건축기능사와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두가지 자격 보유중인데요
전기산업기사 응시자격이될까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체육대학교 4년제 졸업후 실내건축 기능사, 전산응용건축 제도기능사 자격을 보유하고 계신 상황에서 전기산업기사 응시 자격에 대해 고민하시는듯 합니다.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현재 질문자님의 학력과 기존 자격증만으로는 전기 산업기사 시험에 바로 응시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기 산업기사 응시 자격은 주로 다음과 같은 기준을 따릅니다.
관련 학과 졸업 : 전문대학(2~3년제) 관련 학과 졸업자 또는 4년제 대학교 관련 학과 졸업자(졸업 예정자 포함).
경력 인정 :
2년제 또는 3년제 전문대학 졸얿자는 졸업후 관련 분야에서 일정 기간(각각 2년, 1년 이상) 실무 경력 필요
비관련 학과 4년제 대학교 졸업자의 경우, 졸업후 관련 분야에서 1년 이상의 실무 경력이 필요합니다.
동일(유사)직무 분야 산업기사 취득후 실무 경력 :
다른 종목의 산업기사를 취득한 후 관련 분야에서 1년 이상의 실무 경력
기능사 자격 취득후 실무 경력 :
전기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후, 해당 직무 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전기산업기사 응시 자격이 주어집니다.(이경우는 전기기사 응시 자격 기준입니다. 산업기사는 기능사 취득후 1년 실무 경력이 필요할수있습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체육대학교(비관련 학과)졸업이므로 만약 졸업 후 전기 관련 분야에서 1년 이상의 실무 경력이 없다면 바로 응시하기는 어렵습니다. 실내건축기능사 및 전산응용 건축제도기능사는 전기와 직접적인 관련 분야로 인정받기 어려울수있습니다.
질문자님께 드리는 제안 :
전기기능사 취득후 경력 쌓기 : 가장 확실한 방법중 하나는 전기기능사 자격을 먼저 취득하는 것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이미 전기기능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계신다고 말씀하셨으니 전기기능사 자격 취득후 전기 관련 분야에서 1년의 실무 경력을 쌓으시면 전기산업기사 응시 자격을 충족하실수있습니다.
학점은행제 활요 : 비전공자를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는 학점은행제를 통해 전기 관련 과목 학점을 이수하여 전기 산업기사 응시 자격을 충족하는것입니다.
어떤 경로를 선택하시든 질문자님의 의지와 노력이라면 충분히 좋은 결과를 얻으실수있을것이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