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에 부도가 난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국가에 부도가 난다면 어떻게 될까요?? 원화의 가치는 떨어지고 부동산도 망하고 어떤식으로 변화하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어느 나라를 대표적으로 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엘살바도르의 통화정책을 보면 이미 해당 국가의 화폐는 신뢰를 잃었기 때문에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지정하였습니다
즉 이대로 가다간 국가가 사라질 위기이기 코인이라는 자금이라도 수혈을 받아서
국가를 굴리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가치 폭락과 금리 급등으로 금융시장과 부동산 시장이 동시에 침체됩니다.
물가 폭등, 실업 증가, 수입품 부족으로 국민생활 전반에 위기가 됩니다.
대표적으로 아르헨티나, 그리스가 심각한 국가 부도를 경험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국가에 부도가 난다는 것은 국가가 빚을 갚지 못하는 국가 부채 위기 상황을 의미하며, 이를 디폴트 또는 모라토리엄이라고 합니다. 디폴트는 국가가 채권자에게 채무 상환을 거부하거나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모라토리엄은 채무 상환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겠다고 선언하는 것입니다. 국가 부도가 나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에 투자했던 자금을 대거 회수하면서 외화가 급격히 빠져나갑니다. 이로 인해 원화 가치가 폭락하고, 환율은 폭등하게 됩니다. 환율 상승은 수입 물가를 급격히 올려 인플레이션을 유발합니다. 은행을 비롯한 금융 기관들이 대출금을 회수하지 못해 부실화되고, 이는 곧 금융 시스템 전반의 마비로 이어집니다. 기업들은 자금 조달이 어려워져 줄도산하고, 이는 대량 실업 사태로 이어집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국가가 부도가 난다면 그 국가의
경제는 박살나고 외인 자본 등은
대량으로 유출되는 등 할 것이며
국가의 전반적인 경기가 좋지 않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국가 부도란 국가가 외채를 비롯한 채무를 제때 갚지 못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부도가 나면 환율 폭등과 물가 상승으로 국민 생활비 부담이 커지고, 정부 재정 악화로 공공서비스 축소, 금융시장 불안과 신용 등급 하락이 발생해 경제 침체가 심화됩니다. 대표적인 국가부도 사례로는 1997년 외환 위기 당시 한국, 1998년 러시아 모라토리움 선언, 2010년대 그리스 부채 위기 등이 있습니다. 국가 부도는 경제 전반에 심각한 충격을 주며, 신뢰 회복과 경제 안정화에 오랜 시간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2000년대 이후 아르헨티나나 스리랑카 같은 나라가 디폴트 선언을 하긴 했습니다 국가가 부도가 나면 일단 물가가 말도 안되게 폭등을 합니다 화폐가치가 똥값 되는거죠 우리나라 imf 때 생각해봐도 원달라 환율이 600원대에서 2400원까지 바로 급등했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부동산도 폭락하는건 기정사실입니다
결국 국가 부도가 나면 현물로 달러랑 금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들만 살아 남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국가부도의 대표적인 예는 베네수엘라입니다.
극단적인 포퓰리즘으로 인해 국가가 부도가 나서 돈값은 휴지조각이 되고 모든게 마미되었습니다.
금이 최고의 대비 수단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국가부도는 국가가 채무를 상환하지 못해 디폴트를 선언하는 상황으로 경제에 심각한 충격을 줍니다.
원화 가치가 급락하며 환율이 치솟고, 수입 물가 가 상승해 인플레이션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은 자본 유출과 금리인상으로 가격이 하락하고 거래가 위축될 가능성이 큽니다.
대표적으로 1998년 러시가 금융위기와 2001년 아르헤닡나 디폴트를 들 수 있습니다.
러시아는 루블화 가치가 70% 급락하며 부동산 시장이 붕괘했고, 아르헤닡나는 페소 가치폭락으로 경제가 마비되었습니다.
대응으로 자산을 외화(달러, 금)로 다변화하고, 부채를 줄이며, 안정적 인 투자처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국가부도가 발생하게 된다면 이는 큰 사회적 충격이 발생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가령 자국 통화의 가치는 떨어지기에, 환율이 크게 상승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수입품 등을 통해 생활하는 국가나 국민이라면 그 부담감은 더 커질 것으로 보여지며, 국가의 신뢰도가 하락한 측면에서 금리는 상승하게 되므로, 이는 대출이자 등의 문제가 수면위로 상승할 가능성도존재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니 그 인플레이션의 상승정도는 단기간 급 상승할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아르헨티나나 아프리카 국가들을 통해 확인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국가에 부도가 발생하는 경우 말씀하신 바와 같이 화폐 가치 폭락과 수입물가 상승으로 인한 급격한 인플레이션 발생, 소비여력 감소에 따른 가계 경제 급락 등이 발생합니다.
기업의 가치는 떨어지고 연쇄적인 부도가 발생할 수 있으며 부동산 시장 위축에 따른 서민 생활 악화가 발생합니다.
과거 아르헨티나의 국가 부도로 인해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발생했던 예가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제일 먼저 전 세계 신용평가기관들이 그 나라의 신용 등급을 낮추게 되고, 투자자들이 자신이 투자한 돈을 모두 빼면서 국가 부채가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며, 화폐의 가치가 폭락하게 됩니다. 그리고나서 은행과 기업이 줄도산(파산)하게 되면서 일자리가 사라지고 뱅크런 등이 발생하여 경제 대혼란이 시작됩니다. 국제기구(IMF 등)가 나서서 채무 재조정 협상을 시작하고 국가를 되살리기 위해 도와줍니다. 국가 부처에서는 긴축 정책을 펼치고 국민들의 삶은 더욱 피폐해집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그리스, 아르헨티나 등을 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