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머리에초코렛무스
머리에초코렛무스

Per이 정확히 어떤의미를 가지나요?

per이.높을 때랑 낮을때 각각 어떤 의미로 받아들여야 하나요??

per이 높으면 고평가되었고 낮으먼 저평가 되었다는 이야기는 들었는데


각각의 다른 해석이 필요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이란 Price Earnings Ratio의 약자로 주가수익비율을 의미합니다.

      PER=시가총액/당기순이익

      PER이 높다는 것은 시가총액이 당기순이익에 비해 평균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대부분 성장주의 경우 높은 PER을 기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아시는대로 일반적으로 그렇게 해석합니다. PER은 영업이익이나 순이익 대비하여 시가총액의 가치를 말하는겁니다.

      예를들어 A라는 회사의 영업이익이 100억인데 시총이 1조일 경우 PER이 100 이라고 합니다.

      한국 시장의 평균 PER은 10~12정도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보다 높으면 고평가, 낮으면 저평가라고 합니다.

      물론 비교할떄 동종 기업을 가지고 비교하셔야 합니다. 예를들어 삼성전자와 에코프로비엠 같은 기업을 비교하는건 말이 안됩니다.

      삼성전자는 경기민감 섹터라서 PER이 낮습니다. 반면 에코프로비엠은 성장섹터라서 현재 이익은 낮지만 향후 성장성을 고려하여 PER을 높게 평가 받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수치로 계산되며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배가 되는가를 나타낸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이 높으면 고평가 per이 낮으면 저평가인 경우가 있으나

      보통은 동종업계의 기업들과 비교를 해보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 시장에서 "PER"은 "Price-to-Earnings Ratio(주가수익비율)"의 약자입니다. 이 비율은 주식 시장에서 특정 주식의 가격을 기업의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것으로, 해당 기업의 주식이 현재 수익을 얼마나 가치 있게 생각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높은 PER은 해당 주식이 미래 수익성에 대한 기대가 높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은 순이익과 주가의 비율로, 지금 이 회사의 순이익으로 기업의 가치(시가총액)만큼 돈을 벌려면 몇년이 걸리냐를 나타낸다고 할수있습니다.

      PER이 10이면 10년간 순이익으로 이회사 가치만큼 벌수있는것입니다.

      똑같은 PER이어도 성장기업이냐 정체된산업의 기업이냐에 따라 평가는 달라집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반도체나 2차전지 기업의 PER이 훨씬 높고, 은행, 정유회사, 조선업체 등은 PER이 훨씬 낮습니다.

      기본적으로 PER이 높으면 고평가되어있는 상태인고 낮으면 저평가 되어있는 상태인데, 이것은 동종업계의 유사기업들의 평균적인 PER과 비교해보아야 하는 부분입니다.

      아래는 PER의 개념에 대해서 써놓은 내용입니다.

      ------------------------------------------------

      PER은 Price-to-Earnings Ratio(주가 수익비율)의 약어입니다. PER은 기업의 주가를 기업의 주당 순이익(Earnings per Share)으로 나눈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ER은 투자자들이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고 주식의 상대적인 가격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높은 PER은 투자자들이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주식에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반대로 낮은 PER은 투자자들이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낮게 평가하거나 현재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식 시장에서 PER은 기업이 얼마나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지, 투자자들이 해당 기업에 얼마나 주가를 부과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ER은 다른 기업들과 비교하여 분석하거나, 업종 평균 PER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가치를 평가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이라는것은 'Price Earning Ratio'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주가수익비율이라고 하는데, 이 PER을 구하는 방법은 [주가 / 1주당 당기순이익(납세후) = 주가 / EPS]이에요.

      이러한 PER값은 해당 기업이 얻은 순이익을 주식 시장에서 얼마의 가치로 평가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데, 기업의 순이익에 비해서 주식가격의 가치가 높을 수록 PER이 높게 나타나며, 반대로 기업이 얻는 순이익에 비해서 주식가격의 가치가 낮을 수록 PER이 낮게 나타나게 되요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 주가수익비율로 불리고, PER이 높으면 주당 순이익에 비해 주가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PER이 낮은 경우에는 주당 순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PER이 낮은 경우가 주가가 올라갈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기업의 매출액 대비 시가총액으로 per을 산정합니다.

      • 따라서 per이 높으면 매출액 대비 높은 시가총액으로 고평가를 받는 것입니다.

      • per이 높은 기업은 향후 그만큼의 성장이 예상되는 기업이기 때문이고 per이 적은 기업은

        안정적인 매출구조로 향후 성장보다 안전한 매출이 보장된 기업이 많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