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눈에띄게딱딱한라임나무
눈에띄게딱딱한라임나무

아이들 입장에선 부모가 무조건 허락해주는걸 바랄까요?

아이가 부모에게 요구하는 게 많습니다. 이것도 사달라 저것도 해달라 그래서 대부분 커트를 하고 아이와 약속을 통해 정해진 것만 사게 하는데 이게 아이에게는 불만인거 같습니다. 제가 잘못하는 걸까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부모가 아이의 요구를 무조건 수용해줘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부모가 아이의 요구를 모두 들어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일정한 기준과 약속을 통해 소비를 조절하는 것은 매우 현명한 양육 방식입니다. 아이가 불만을 느낄 수는 있지만, 이는 자율성과 절제력을 배우는 과정의 일부입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의 감정을 무시하지 않고, 왜 제한이 필요한지 설명하며 공감해주는 태도입니다. 아이와 함께 소비 계획을 세우고, 선택의 기회를 주면 만족감도 높아지고 교육적 효과도 큽니다.

    따라서 부모의 대응은 잘못이 아니라 아이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방향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 입장에서 보면

    눈에 보이는 것은 다 갖고 싶고, 부모님이 무언가 그것은 안돼 라고 이야기를 하면

    그 당시에는 서운함을 느끼는 것이 사람이다 보니 가지는 감정이기 때문 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아이가 원하는 것들을 다 주는데 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안되는 것에 있어서는 단호함으로 안된다 라는 것을 전달한 후, 왜 안 되는지 그 이유를 아이가 납득 할 수 있도록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잘 알려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혀 잘못하고 계신 게 아닙니다.

    아이들은 순간적인 욕구를 표현하지만, 실제로는 부모가 기준을 지켜주는 걸 통해 안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무조건 허락해주는 부모보다, 이유를 설명하며 약속을 지키는 부모를 더 신뢰하게 됩니다.

    다만, 아이의 입장도 존중해 이건 다음에 사자, 이건 왜 안 되는지 같이 생각해보자 등처럼 대화로 풀어주시는 게 좋습니다. 이러한 과정이 아이의 자제력과 기다림을 배우는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 입장에서는 부모가 자신을 믿고 원하는 걸 허락해주길 바라지만 사실은 모든 요구를 들어주는 것보다 기준이 명확한 부모를 더 안정적으로 느낍니다. 지금처럼 약속을 정해 선을 지키는 건 잘하고 계신 겁니다. 다만 아이가 왜 안돼? 라고 느끼지 않도록 이유를 충분히 설명하고 스스로 선택할 여지를 주면 불만이 줄어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