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공시가 실거래가격 계산법이요
부동산 공시가격 금년가격이 232,000,000원이면
실거래가격은 얼마라는건가요?
실거래가격계산법알려주세요ㅠㅠ
다세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공시가격 (공시가): 정부(국토교통부)에서 매년 발표하는 기준가격. 보유세(재산세, 종합부동산세), 건강보험료 등을 산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실거래가: 실제 부동산이 거래된 가격입니다
시장에서 매수자와 매도자 간의 계약으로 결정됩니다
,실거래가 추정 계산법 (다세대주택 기준)
보통 공시가격은 실거래가의 60~70% 수준으로 책정됩니다
다세대주택은 일반 아파트보다 이 비율이 낮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어, 공시가격 = 실거래가의 50~70% 수준으로 잡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시가격이 2억 3,200만 원인 다세대주택의 실거래가는
약 3억 3천만 원 ~ 4억 6천만 원 사이로 추정됩니다
근처부동산에 가서 실거래가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1명 평가실거래가 가격은 계산을 하는 가격이 아닙니다.
누군가 돈을 내고 실제로 산 가격이 실거래 가격입니다.
공시가격이 2억3200만원이라도 3억에 거래되면 실거래가는 3억이고 4억에 거래 되면 실거래가는 4억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공시지가만 가지고 시세를 판단할수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시세 대비 공시지가는 60~70%사이인데 이 또한 동일지역이라도 매물에 따라 차이가 생길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실제 시세는 상황에 따라 변동이 되지만, 공시지가는 1년에 단1회만 공시되기 떄문에 시세를 단순 유추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기준으로 3.8억 ~ 4억수준의 시세가 형성되지 않을까 생각은 됩니다.
안녕하세요. 임형순 공인중개사입니다.
공시가를 근거로 한 실거래 계산 방법은 없습니다
공시가는 1년에 한번 정해져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보상, 복지 등 수백 개 정책과 행정적으로 활용하는 고정된 가치 척도일 뿐 이며 실 거래가는 시시각각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공시가와 실거래가에 관계는 없습니다
다만 실거래가의 추이를 봄으로써 공시가 대비 몇 퍼센트 정도인지를 통해서 평균보다 높다 낮다 정도를 가늠하는 정도로 삼습니다
이상 참고가 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실거래가 = 공시가격 * 지역별 환산계수를 대입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보통 1.3배~1.7배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각 지역마다 차이가 있으므로 정확하지는 않고 연식, 층수, 향, 내부 구조에 따라 편차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