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한반도 삼국시대의 국가들중 하나인 신라는 불교를 받아들인 시기가 두국가보다 엄청늦다던데요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역사에 관심이 큰 사람입니다 한국사에대해 유튜브를 검색하다가 알게된것인데 한반도의 삼국시대에서 신라가 불교를 공인한시기가 다른 두국가인 고구려와 백제에 비해 거의 2세기나 차이가 난다고하더라고요 왜 그런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사실상 신라는 한반도 중에서도 가장 외진 곳에 자리잡고 있었고, 초기 왕권이 강하지 않았기 때문에 새로운 사상을 도입할 확실한 주체, 당위성이 없었기 때문에 고구려, 백제보다 불교의 수용이 더 늦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 됩니다.
신라는 법흥왕 재위시(527년)에 이차돈의 순교와 함께 불교가 공인됩니다. 반면 고구려, 백제가 4세기 소수림왕, 침류왕 때 불교를 공인하였습니다.
신라가 늦게 불교를 공인한 이유는 우선 다른 나라와 달리 늦게 5세기에 불교가 전래되었으며, 전통 신앙을 고수하던 귀족들이 불교의 유입을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따라서 왕권 강화와 국가 통합을 위해 불교 공인에 많은 저항이 있었기 때문에 뒤늦게 공인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그 이유에 대해 명확히 사실로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다만 전하는바에 따르면 신라에는 '신교'라는 고유의 국교가 존재하고 민간신앙들 또한 두텁게 자리하고 있었던 듯 합니다. 하지만 불교를 통해 국가 통합을 염원했던 진흥왕은 이차돈의 순교를 통해 그를 달성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