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암의 환자의 피를 수혈받으면 암에 걸리나요?
순수 궁금증 입니다. 만약 자신이 혈액암에 걸렸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채 헌혈을 했다고 가정했을 때,
그 피를 수혈받은 사람은 혈액암에 걸릴 가능성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만약 헌혈자가 혈액암을 앓고 있었더라도, 그 피를 수혈받은 사람에게 혈액암이 전염되는 일은 없습니다. 혈액암은 감염성 질환이 아니기 때문에, 헌혈된 피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지 않습니다. 다만 혈액암인걸 아는 환자는 헌혈하진 않겠죠.
안녕하세요. 김준오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입니다.
혈액암의 경우 대부분 백혈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백혈병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백혈병의 경우는 골수에서 비정상적으로 생산된 백혈구가 혈관을 돌아다니게 됩니다.
수혈의 경우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모두 수혈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수혈'의 경우는 적혈구 수혈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혈액암 환자의 혈액에서는 비정상적으로 많은 수와 비정상적인 형태를 지니는 백혈구가 관찰되게 됩니다.
헌혈을 완료한 이후 혈액을 검사하는 과정에서 정상적이지 않은 혈액은 폐기처분하게 되어 그 피를 수혈받을 일은 없습니다.
혹여나 혈액암 환자의 혈액을 수혈받는다 하더라도 백혈구 자체로는 증식 기능이 없어 혈액암에 걸리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실제 의료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일이라서 교과서나 임상 경험으로 알 수 있는 부분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검색을 좀 해봤는데 근거가 있는 자료로 보여 한번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결과만 먼저 이야기 드리면 수혈을 받더라도 혈액암이 걸리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