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2025위시리스트
2025위시리스트

고정환율제와 변동환율제의 장단점

IMF 때 우리나라가 고정환율제를 고수하고 있어서 결국 IMF위기까지 갔다는 말이 있던데 고정환율제와 변동환율제는 어떤 장단점을 가지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변동환율제

      장점- 환율의 불확실성이 줄어들며, 환율유지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에 따라 외환보유고를 무리하게 유지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점- 환투기가 존재하게 되면 위험해지며, 환율변화가 급격하게 발생하면, 국가경제가 타격을 입습니다.

      고정환율제

      장점- 환율고정으로 인한 환리스크가 감소하여 대외거래를 촉진시킵니다.

      단점-대외 충격 등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조정되지 않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정 환율제의 장점은 불의의 환율변동으로 인한 손해를 입을 염려가 없다는 점으로서, 환율에 관한 불확실성이 없으므로 국제거래를 촉진하고 국제시장을 확대하는 데 도움이 된다.변동 환율제의 경우 환전 시 통화의 가격이 자동적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경제 상황에 급작스런 충격이 올 경우 위험성이 줄어든다. 외국인 투자자 및 기업의 투자 시에도 상대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확실성과 예측성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고정 환율과 비교해 단점도 있다. 이는 의도적으로 자국 통화를 절하하려는 노력에 따라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맞지 않다고 지적하는 학자들도 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정환율제는 환율의 안정감을 주나

      국제수지의 불균형 등을 조정하는데 제약됩니다.

      변동환율제는 안정감은 떨어지지만 국제수지 조정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정환율제도라고 하는 것은 환율에 대한 임의적 개입을 통해서 환율을 고정하는 것인데 이런 경우 환율에 의한 수출입 실적 영향이 줄어들게 되는데, 환율리스크가 사라지게 되면서 기업들의 이익 관리와 국내의 물가안정에 도움이 되는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환율 조작국이라는 오명으로 타국과의 교역에서 불리한 교역을 할 수 있어요

      그리고 변동환율제도는 환율에 따라서 수입물가 상승이나 수출기업의 실적 감소등과 같이 환율 리스크가 발생하는데 반해서 시장의 자료로운 운용으로 인해서 투자 자본이 유입될 여건이 마련되는 것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