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공기의 습도에서 일반적으로 말하는 습도는 상대습도인데 정확하게 뭘 말하나?

공기의 상태를 말하는 경우라면

온도 와 습도를 일반적으로 말하는데요

사실 공기의 상태를 말할 때

집어낼 수 있는 팩터는

온도, 상대습도, 절대습도, 엔탈 피, 열수분비 등

여러가지의 팩터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어차피 그런 부분은 전공자들이나 관련직종에서나 다루는 부분들 이겠군요

일반적인 우리같은 사람들은

공기가 습도가 몇 프로야 라고 하면

그냥 몇 프로다 라고 말을하게 되는데요

이게 소위 말하는 상대습도로 아는데

그럼 공기에서

상대습도라는건 정확하게 어떤 의미로 받아들여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말하는 습도는 상대 습도를 말하고 있습니다.

    상대 습도는 공기가 습하거나 건조하다 라고 느끼는 것이며 이는 온도에 따라 변합니다.

    똑같은 수증기량 이라고 할지라도 온도가 높으면 포화 수증기량이 더 커져 상대습도가 낮아지고 온도가 낮아지면 상대습도가 올라가게 됩니다. 따라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습도가 몇 %야?라는 의문은 상대 습도를 가르키는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상대습도(RH)는 실제로 공기 중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량에 대하여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이 얼만큼 차지하고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상대습도가 100%라면 그 지역의 공기가 수증기로 포화되어 있고 상대습도가 50%라면 공기가 수증기를 최대치의 절반을 포함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느끼는 상대습도는 20%이하-매우건조, 40~60%-쾌적함, 70% 이상 -습하고 불쾌지수가 높습니다.

    이렇게 상대습도를 바탕으로 강수, 안개, 열대야 등을 기상예측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