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사와 식물인간의 상태를 결정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뇌사와 식물인간은 겉으로 보기에 비슷해 보이지만 의학적으로는 전혀 다른 상태라고 하는데요 뇌사와 식물인간의 상태를 결정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성 의사입니다.
뇌사와 식물인간은 의학적으로 매우 다른 상태를 의미합니다. 두 개념은 생명 유지 가능성과 뇌 기능의 회복 가능성, 그리고 뇌 활동 정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뇌사는 뇌의 모든 기능이 완전히, 영구적으로 소실된 상태. 이는 법적으로 사망으로 간주됩니다.
동공 반응 소실 (빛 반사 없음), 각막 반사, 구토 반사, 통증 자극 반응 없음.반면 식물인간은 뇌의 대뇌 기능이 손상되어 의식은 없지만, 뇌간 기능이 남아 있어 생명 유지가 가능한 상태입니다. 자발 호흡이 가능하고 눈을 뜨거나 깜박이는 반응이 가능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뇌사는 뇌간을 포함한 전체 뇌의 기능이 완전히 정지된 상태로, 호흡도 인공호흡기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한 비가역적인 상태입니다. 반면 식물인간 상태는 뇌간 기능은 유지되어 자발호흡이 가능하고 수면-각성 주기도 있지만, 대뇌의 손상으로 의식이나 인지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된 상태입니다. 뇌사 판정은 법적으로 정해진 엄격한 검사 기준에 따라 여러 전문의가 반복 검사를 통해 판정하게 되며, 뇌사로 판정되면 법적으로 사망으로 인정됩니다. 식물인간 상태는 장기간 지속될 수 있으며, 매우 드물게 호전되는 경우도 있으나 뇌사와 달리 생명의 징후는 계속 유지되는 상태입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뇌사는 뇌기능이 완전히 멈춘것을 의미하며, 뇌사가 발생하면 심장이 잠시 더 뛸 수는 있지만, 인공호흡기 없이는 호흡이 불가능하고 결국 심장도 멈추게 됩니다.
식물인간은 뇌의 일부(주로 대뇌)가 손상되어 의식은 없지만 뇌간과 기본적인 생명 유지 기능은 유지되는 상태입니다. 스스로 호흡할 수 있고, 심장이 뛰며, 소화 등 일부 생리적 기능이 가능합니다.
뇌사는 생명 활동의 완전한 종료 상태로 간주되며, 법적으로 사망이지만 식물인간은 생명 유지가 가능한 상태로, 치료 및 돌봄이 필요로 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되셨으면 합니다.
평가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식물인간은 생각, 판단, 기억을 담당하는 대뇌에 심각한 손상을 입어 모든 인지 기능이 소실되거나 장애가 발생한 경우로 외부에서 생명에 필요한 영양 공급이 지속되면 생명을 유지할 수 있어 의식을 회복하게 되거나, 의식이 돌아오지 않더라도 장기간 살아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뇌사는 대뇌와 뇌간이 모두 복구 불능의 손상을 입어 뇌 전체 활동이 정지된 것으로 각성, 인지, 호흡, 수면, 반사반응, 자율신경 기능도 보이지 않아 산소 호흡기 같은 기계적 도움이 없으면 바로 호흡이 멎습니다.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뇌사는 뇌의 모든 기능이 영구적으로 멈춘 상태로 자발 호흡이 없고, 동공 반응이나 기침 반사 등의 뇌간 반사가 소실되어 있으며, 뇌파 활동이 없습니다. 환자는 생명 유지 장치 없이 생존이 불가능합니다.
반면 식물인간은 뇌간 기능이 유지되어 있어 자발 호흡 및 기본 반사가 있습니다. 그러나 자극에 대한 의식적인 반응이 없고, 깨어있어 보이지만 인지할 수 없습니다.
뇌사는 법적 사망으로 간주되고 식물인간은 회복가능성이 낮으나 생명 유지가 가능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뇌사는 뇌 전체의 기능이 정지된 상태이지만, 식물인간은 뇌간 기능이 유지됩니다.뇌사 환자는 자발호흡이 불가능하지만, 식물인간은 가능합니다. 뇌사는 회복이 불가능하지만, 식물인간은 매우 희박하지만 회복 가능성이 있습니다.
생존 기간: 뇌사 환자는 2-3주 내에 사망하지만, 식물인간은 장기간 생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