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중국이 대미협상하는 국가에 대해 보복을 시사했던데 중국 경제에도 자충수 아닌가요?

중국이 이번 관세 문제에 대해서

미국과 협상하는 국가들에 대해

중국의 이익과 반하면 보복할 것이라는 것을 경고했습니다

그런데 현재 중국도 경기침체와 더불어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부동산 문제 등

여러 경제문제들이 있어서

타국에까지 보복을 하기에는 경제적으로 부담이 될 것 같은데

국가지원으로 당분간 부담한다 치더라도

현실적으로는 자충수가 될 가능성이 높은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이 미국과 협상하는 국가에 대해 보복을 시사한 것은 여러 측면에서 중국 경제에도 자충수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현재 중국 경제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들을 고려할 때, 대외적으로 강경한 보복 조치를 취하는 것은 오히려 내부적인 어려움을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이 자국의 이익과 반하는 대미 협상을 하는 국가에 대해 보복을 감행할 경우, 해당 국가와의 관계 악화는 물론 국제 사회에서의 신뢰도 하락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중국의 경제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보복 대상 국가와의 교역 감소는 중국의 수출 부진을 심화시키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가속화하여 중국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핵심 부품이나 기술 수입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중국 제조업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전쟁을 지속하는 것도, 중국이 대미 협상국에 보복 가능성을 언급하는 것도, 일종의 정치적, 외교적 압박 카드입니다. 따라서 중국정부에도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수 있습니다.

    단순 압박카드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물론 그럴수도 있지만 현재 중국이 미국의 견제를 그대로 맞았다가 경제가 휘청였던 지난

      1기 때를 회상한다면 지금은 죽을 각오로 미국의 관세에 보복으로 대응할 것으로 보입니다

    • 미국채를 공격적으로 매도하면 서 미국 재정에 부담을 주고 동시에 미국 기업들의 수출에도

      타격을 주려는 모양새 입니다.

    • 결국 둘중 어떤 국가가 패권을 잡는지에 따라서 향후 경제 방향이 결정될만큼 중요한 이슈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중국이 대미협상하는 국가에 대해서 보복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충분히 자충수로 보입니다.

    다만, 그렇게 해야지 미국과 관세 전쟁을 하고 있는

    중국의 입장에서 체면이 세워진다고 생각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이 대미 협상하는 국가들에 대해 보복을 시사한 것은 경제적으로 자충수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현재 중국은 경기 침체와 부동산 문제 등으로 이미 어려움을 겪고 있어 추가적인 경제적 부담은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국가 지원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중국의 경제에 큰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외교적 보복은 중국 경제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위험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정확한 내용은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 외 국가와의 무역협상에서 중국을 압박하는 내용을 끼워넣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 가운데 중국이 이 경우 이들 국가를 대상으로 반격에 나설 것임을 밝힌 것입니다.

    중국이 먼저 피해를 보면 대응하겠다는 내용이라 바충수로 보기는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