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간에 허위사실로 모욕을 하며 이혼을 종용할 때
아버지께서 지병으로 장기간 외부생활을
안 하시고 집안에 계십니다.
밖을 나가는 경우는 마트에 갈 때,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병원에 갈 때, 수면제 처방을 받기 위해 병원에 갈 때 뿐입니다.
어머니는 아직 일을 다니십니다.
혼자 집안에 계시던 아버지는 어머니가 외출하시면 무슨 안 좋은 상상을 하셨는지 모르겠지만
작년초 쯤에 뉴스에서 목사가 유부녀인 여신도와 불륜을 저지른 뉴스를 보신 이후 갑자기 있지도 않은 일을 본인이 보았고 들었고 주변 사람도 다 안다고 하시며
어머니가 다니는 교회 목사님과 잠자리를 같이 했고 그걸 목사 사모님도 알고 있다는 등으로 시작해서 별의별 이상한 성적수치심을 불러일으키는 이야기를 하시면서
이혼해야 한다고 재산은 줄 수 없다고 하셨는데 작년말부터 갑자기 조용해지시더니
치매가 와서 제대로 기억도 못하고 계시다가 지난 일요일부터 갑자기 병증이 재발하셨는지 다시 성적으로 모욕적인 말을 하십니다.
작년초에 치매검사를 받았지만 문답식 검사는 정상으로 나왔습니다.
그걸 가지고 아버지 본인은 이미 병원에서 정상이라고 했으니 더 이상 검사할 필요가 없다고만 하십니다.
또한 이런 증상이 있는데 어떻게 해야할지 정신과나 지역상담센터에 문의하여 상담을 받았지만 현재 완화된 강제입원은 저희가 직접 방문하거나 어머니에게 위해를 가할 때만 경찰을 불러 가능하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저는 법적으로 도움을 받는 방법이 있을지 문의 드립니다.
현재 아버님의 증상으로 인해 어머님과 가족분들께서 매우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버님의 증상이 치매로 인한 것인지, 다른 정신질환으로 인한 것인지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1.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상담: 아버님의 증상을 설명하고, 치매 검사를 다시 받아보는 것을 권유해 볼 수 있습니다. 치매 검사는 문답식 검사 외에도 뇌 MRI, 혈액검사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2. 지역 치매안심센터 방문: 치매안심센터에서는 치매 조기검진, 치매 예방 및 관리, 치매 환자 가족 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버님의 증상을 설명하고, 치매 검사를 받아보는 것을 권유해 볼 수 있습니다.
3. 가정폭력 상담센터 상담: 아버님의 증상으로 인해 어머님이 신체적, 정신적 피해를 입고 계시다면, 가정폭력 상담센터에서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가정폭력 상담센터에서는 가정폭력 예방 및 대처 방법, 피해자 보호 및 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4. 경찰 신고: 아버님의 증상으로 인해 어머님이 생명의 위협을 느끼거나, 신체적, 정신적 피해를 입고 계시다면 경찰에 신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찰은 가정폭력 예방 및 대처 방법, 피해자 보호 및 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5. 이혼 소송: 아버님의 증상으로 인해 혼인생활을 지속하기 어려운 경우, 이혼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혼 소송을 제기하기 위해서는 혼인생활을 지속하기 어려운 사유를 입증해야 합니다.
위의 방법 중에서 아버님의 증상에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여 진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