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삼겹살굽기
삼겹살굽기

왜 일본이 다시 금리인상을 하려는 걸까요?

일본 은행 총재가 다시 금리인상을 할 수 있다고 하네요. 주식하는 사람 다 망하라고 고사하는 것도 아니고 이렇게 금리를 올리는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일본이 다시 금리인상을 하려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자신들의 화폐인 엔화의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서라도

    금리인상의 필요성이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의 금리 인상은 최근 인플레이션 압력이 증가하고 있는 과도한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데 도움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엔화 가치의 급격한 하락을 방지하고 안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며 수입 물가 상승 압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은 2000년대들어서 금리인상을 제대로 해본적도 없고 몇십년동안 디플레이션을 탈피하기 위해서 마이너스에 가까운 금리를 아베때부터 오래동안 유지하고 엄청난 양적완화를 진행했습니다

    일본은 30년넘게 기준금리 0.5프로이상을 하지도 못했으며 현재도 0.25프로 수준입니다.

    그런데 올해부터 일본 국민들의 기대인플레이션이 2000년대들어 처음으로 상승률이 올라가는 흐름과 자국내의 물가상승률이 매우 가파르고 이는 외국인들의 엄청나게 유입되어 소비가 증가하자 자국의 물가가 오르며 일본 국민의 불만이 매우 커진것입니다

    이는 지속적인 엔화가치가 하락하고 신저가를 보이면서 발생하는 문제이고 이를 위해서 일본의 중앙은행이 금리인상이 본격적으로 필요한시점으로 보고 자국의 엔화가치를 올리고 수요를 잠재우고 수입물가를 낮추며 물가를 낮추는게 정책의 핵심과제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준금리를 높여야 향후 위기발생시 금리인하폭을 넓게 가져갈수 있어 중앙은행의 정책 유연성을 높일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과 같은 경우에는

    그동안 경기부양을 하기 위하여 엔저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였으나 지나치게 엔화의 가치가 낮았고

    이에 따라서 최근 금리인상 등의 기조를 보이는 것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일본 경제의 구조적 요인이나 해외 경제 상황을 고려할때 단순히 엔화 약세에 대응해 금리를 인상하는것 같지는 않습니다.

    물가가 가장 우선적인것으로 우에다 총재는 엔화 약세가 물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경우 금리 인상을 검토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