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풋풋한홍학169
풋풋한홍학169

미국의 관세 인상 조치가 우리나라 수출입 기업의 고용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안녕하세요.

미국의 관세 인상으로 인해서 우리나라 수출입 기업의 고용 안전성과 관련하여서는 향후에 어떤 변화가 예상 될 지 상세히 답변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현장에서 자주 접한 바로는, 미국이 관세를 인상하면 단가 경쟁력이 바로 흔들리기 때문에 수출 중심 기업들은 이익률 방어부터 고민하게 됩니다. 처음엔 단가 조정이나 거래처 변경 정도로 대응하지만, 이게 길어지면 결국 생산량 줄이게 되고, 그렇게 되면 인력 감축 얘기가 안 나올 수가 없습니다. 특히 OEM 비중이 높은 중소 제조업체는 타격이 더 큽니다. 일시적일 땐 버티지만, 관세 인상이 장기화되면 고용 유지가 어려워진다고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관세를 올려버리면 수출기업들 입장에선 갑자기 수익성이 확 꺾일 수 있어서, 제일 먼저 비용 줄일 수 있는 쪽부터 손대게 됩니다. 그게 보통 인건비입니다. 생산라인 줄이거나 계약직부터 정리하는 식으로 가다 보면 고용이 흔들릴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미국 의존도가 큰 업종일수록 타격이 직접적으로 오기 때문에 지방 공장이나 중소기업 현장 쪽은 더 불안정해지는 구조입니다. 관세 하나 올라가면 단가만 올라가는 게 아니라 사람까지 줄어드는 흐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고용 안정성엔 분명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관세인상정책은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굉장히 악재가 될 수 밖에 없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 미국에 대한 수출입액이 높은 상황이고 미국으로는 자동차 등 주요품목들에 대한 수출이 굉장히 높습니다. 우리나라의 고용을 축소하고 현지생산 확대가 이루어지면 국내 고용 둔화등이 이루어질 수 있어 정부입장에서는 여러가지 입장에서 수출/국내고용 경제성장 등의 지표를 관리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