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출제위원은 어떻게 뽑히게 되는 건가요??
종종 고등학교 선생님이나 교수님의 경우 뜬금없이 어디 출장가신다거나 하면 수능 출제위원으로 뽑히신거다 라는 말이 있는데요, 그럼 수능 출제위원의 경우 어떻게 선발하게 되는 건가요?
본인이 지원을 해놨다가 뽑히게 되는건지 혹은 수능 본부쪽에서 선발해서 뽑히게 되는건지 방식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는 아니지만 자료를 찾아본 결과 수능 출제위원은 매년 6월에 전국의 고등학교, 대학, 교육청 등에서 출제위원을 모집합니다. 출제위원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자격 요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해당 분야의 전문 지식과 경험을 갖춘 자
수능 출제에 대한 열정과 책임감을 가진 자
출제위원 지원자는 서류 심사와 면접을 거쳐 선발됩니다. 서류 심사에서는 출제위원 지원자의 경력, 연구 업적, 수능 출제에 대한 열정 등을 평가합니다. 면접에서는 출제위원 지원자의 전문 지식, 수능 출제에 대한 이해도, 수능 출제에 대한 소신을 평가합니다.
출제위원은 매년 10월에 임명됩니다. 출제위원의 임기는 3년입니다. 출제위원은 수능 출제, 검토, 평가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고등학교 선생님이나 교수님이 출제위원으로 뽑히는 경우는 본인이 지원을 하고, 서류 심사와 면접을 거쳐 선발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구체적인 출제위원 선발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모집 공고 (6월)
서류 접수 (6월~7월)
서류 심사 (7월~8월)
면접 (8월)
임명 (10월)
출제위원은 수능 출제에 대한 전문 지식과 경험, 수능 출제에 대한 열정과 책임감을 갖춘 자를 선발하기 위해 서류 심사와 면접을 거쳐 선발됩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려용 ^^
안녕하세용
출제위원 기준은 대학 조교수 이상의 교원, 연구기관의 연구원, 고교 근무 총 경력 5년 이상의 고교 교사 또는 이와 동등한 자격을 갖춘 사람이고 직접 지원해서 서류 면접과 심사를 통해 뽑힌다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