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에서 버블이 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주식을 공부하는 중인데요
주식을 공부하다 보니 버블이라는 단어가 나오는데요.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버블은 상대적인것이기 때문에 터지지 않으면 지금이 버블인지
아닌지 알 수가 없습니다.
즉 지금과 같이 주식장이나 코인장이 모두 활발하게 상승할 때 버블이라고 하는사람들이
맞으려면 하락을 해야하고 반대로 꾸준히 상승하여 역대 고가를 갱신 한다면 단순히
현재 주식시장이 좋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버블은 주식시장이 진행됨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이고 따라서 건강한 조정이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버블이라는 것은
해당 주식 등에 있어서 본래의 가치보다
부풀려져서 높은 가격을 보이는 것을 말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거품이 들었다라는 말입니다 주식과 같은 자산시장에서 밸류에이션대비 수급과 매수량이 과열되어 주가 즉 자산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밸류에이션대비 지나치게 과도화되고 거래량이 엄청나세 치솟으면거 과대평가이상의 자산가격을 보이는것을 버블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버블은 거품이라는 것입니다.
주식에서 이 버블이라는 말은 어떤 특정기업의 주식이 그 회사의 가치와는 다르게 상승해 고평가되는 것을 말합니다.
거품이 끼었다는 의미이지요.
이는 가치와 다른 행보를 보이기 때문에 언제 하락할 지 모르는 상태를 말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이나 등 금융자산의 시장가치가 내재가치를 과도할 정도로 초과해서 상승해 지속 불가능한 상태에 도달한 것을 버블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전문가입니다.
간단하게 실제가치보다 주가가 크게 오른 것을 버블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에코프로의 시총이 기아차를 넘은 것이라든지 미국의.닷컴 버블 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PER라는 개념에서 버블인지 아닌지 알 수가 있습니다.
PER는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이며
이것을 통해 PER 높다는 것은 주가가 순이익에 비해 높다는 것을 말하며
통상 10이상이면 과한 쪽으로 인식하다고 하며 보통은 20~30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50이상이 되면 사실상 살짝 거품이 꼈다는 것이고 80~100이라면 빅 버블에 해당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지금 현재 미국장의 M7이 조금 심한 편이며 이것을 내리기 위해서는 순이익이 받쳐줘야하고 기대감이 꺾이지 않아야하는데 이제는 불씨가 조금씩 사라지는 느낌입니다.
버블은 거품입니다.
거품은 언젠가는 터지게 마련입니다.
주식에서도 거품은 기업의 실제 가치와는 무관하게 소문이나 기대만으로 주가가 올라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또는 누군가 인위적으로 올린경우도 거품이 끼었다고 말합니다.
거품은 언젠가는 터지듯이 주식시장에 껴 있는 거품도 언젠가는 터지게 되고 그러면 주가는 올라가던 속도와는 비교도 안되게 빠르게 떨어집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에서 버블이 무엇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버블이란 결국 실제는 없고 허황되게 가치가 오른 것을 의미합니다.
즉, 실제 가치보다 더 많이 부푼 것이 버블입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말그대로 거품이 끼어서 본래 가치보다 주가가 너무 높아진 걸 말합니다. 예를 들자면 과거 니콜라 주식을 들수 있습니다.
20년에 코로나 충격이후 풀리는 돈으로 자산시장에 활기가 찾아왔는데, 이때 전기차 열풍이 시작되면서 같이 수소차도 덩달아 주목받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당시에 아직 공장도 제대로 없는데, 니콜라주가가 엄청올랐습니다. 그리고는 실제가치가 반영돼서 지금은 최고점 대비 99%떨어진 상황입니다. 이런게 버블꼈다가 없어진거라 보면 됩니다.
주식 시장에서 버블이라고 하면 거품이 많이 끼었다라고 하는 표현입니다
구체적으로 표현을 하자면 과도하게 주식 가격이 많이 올라와 있는 상태라는 것입니다. 거품이 터지면 주가가 폭락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