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이 없는 폐는 어떻게 숨을 쉴수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폐에는 근육이 없다고 하는데요~그런데 근육이 없는 폐인데 숨은 폐에서 담당하잖아요~ 근육이 없는 폐는 어떻게 숨을 쉴수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폐가 근육을 포함하고 있지 않음에도 호흡을 담당할 수 있는 메커니즘은 주로 횡격막과 갈비뼈 사이 근육들의 동작에 의해 설명됩니다. 횡격막은 호흡의 주요 동력원으로, 이 근육이 수축할 때 가슴의 용적을 증가시키며 이로 인해 폐 내의 압력이 외부 압력보다 낮아집니다. 이 압력 차이가 공기를 폐로 끌어들이는 원동력이 됩니다. 횡격막이 이완되면 가슴 용적은 감소하고 폐의 압력이 상승하여 공기가 밖으로 밀려나게 됩니다.
또한, 갈비간근(external intercostal muscles)은 갈비뼈를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하여 흡입 과정에서 가슴 용적을 추가로 확장시킵니다. 이는 폐가 더 많은 공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반대로, 내부 갈비간근(internal intercostal muscles)은 호흡 시 갈비뼈를 내리고 좁혀 폐에서 공기를 밀어내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외부 근육들의 조정된 활동을 통해 폐는 공기의 유입과 배출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폐 자체에 근육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근육의 도움을 받아 호흡이 가능한 것입니다.말씀대로 폐는 스스로 움직이는 근육이 없기 때문에 직접 숨을 쉴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폐가 숨을 쉴 수 있는 이유는 바로 폐 주변의 호흡근들이 폐를 움직여 호흡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주요 호흡근으로는 횡격막과 갈비뼈 사이의 근육ㅇ비니다.
횡격막은 흉강(가슴)과 복강(배)을 나누는 근육으로, 수축하면 아래로 내려가 흉강의 공간을 넓혀 공기를 폐로 끌어들이고, 이완하면 위로 올라가 공기를 밖으로 내보내게 됩니다. 그리고 갈비뼈 사이의 근육은 갈비뼈를 움직여 흉곽의 부피를 변화시켜 호흡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비유하자면 풍선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풍선 자체는 움직이지 않지만, 우리가 풍선을 불거나 누르면 풍선 안의 공기가 들어오고 나가는 것처럼, 폐도 호흡근의 움직임에 의해 공기가 드나들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폐자체는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데 직접적으로 움직이는 기능은 없습니다. 폐와 연결된 주변의 근육들이 간접적으로 작용합니다.
숨을 들이쉬는 흡기에는 횡경막이 수축하며 아래로 내려가면 상대적으로 흉강이 확장되면서 폐 내부의 압력이 내려가기 때문에 공기가 폐로 들어갑니다. 코와 입을 통해서 들어간 공기는 기관지를 거쳐 이물이 걸러지고, 폐의 폐포에서 산소교환이 이루어집니다.
반대로 숨을 내쉬는 호기에서는 횡경막은 이완하면서 제위치로 올라가면서 흉강이 축소되는데 , 축소되면서 내부압력이 올라가기 때문에 공기가 바깥으로 배출되게 됩니다. 흡기와 반대로 폐포에서의 공기, 이산화탄소는 거꾸로 기관지를 통해 코와 입으로 나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폐는 말씀하신 대로 스스로 운동할 수 없기 때문에 갈비뼈와 폐 바로 아래에 있는 근육인 횡격막이 작용해서 호흡 과정이 일어납니다. 감사합니다.
폐 자체에는 근육이 없지만, 숨을 쉬는 데는 폐 주변의 근육들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로 가로막(횡격막)과 갈비뼈 사이의 늑간근이 수축과 이완을 하여 가슴의 부피를 변화시킵니다. 이때 가슴의 부피가 커지면 폐가 확장되면서 공기가 들어오고, 부피가 줄어들면 폐가 수축되어 공기가 나가는 방식으로 호흡이 이루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