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건강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건강상담
당당한제비134
당당한제비13422.06.19

골다공증 환자는 어떤식으로 치료해야하는 건가요??

나이
55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
기저질환
-

골다공증환자들은 항상 뼈가 부러지지 않도록

조심해야한다고 들었어요

그래서 삶의질이 많이 떨어진다고 그러드라구요

이렇게 심각한 골다공증 환자들은

어떤식으로 치료를 해야

건강한 뼈로 다시 돌아올 수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골다공증의 치료는 주로 골형성을 촉진하거나 골소실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나뉩니다. 그래서 많이 사용하는 약물은

    1. 칼슘(골량을 유지해 주며 골량의 소실을 지연)

    2. 비타민 D(장관에서의 칼슘 섭취를 증가시키고, 골 흡수와 골 소실을 감소)

    3. 여성의 경우는 여성 호르몬을 보충

    4. 비스포스포네이트(골밀도를 증가시키고 골절률을 낮춤)

    과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골다공증은 기본적으로 비타민 D, 칼슘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 보충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두부, 콩, 유제품, 닭고기 등의 단백질을

    보충하는 것이 좋습니다. 걷기, 언덕오르기 등의 유산소 운동 역시 필요하며

    가벼운 아령을 이용한 근력 운동도 좋은 것이 사실입니다.


  • 골다공증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해서는 골 밀도를 최대한 높여 놓아야 하겠습니다. 우유나 멸치 같은 칼슘이 풍부한 음식 섭취를 꾸준히 하는 것도 중요하며, 필요시 칼슘 및 비타민D 영양제를 복용하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운동도 중요하며, 무엇보다 체내의 원활한 비타민D 합성을 위해서 매일 10-15분 정도는 햇빛을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아래는 골다공증의 치료법에 대한 글을 정리해놓은 것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골다공증치료를 위해서는 골형성을 증가시키거나 골흡수를 감소시키는 약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쓰이는 약물로는 에스트로겐(여성호르몬제), 칼시토닌,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재, 칼슘과 비타민 D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약물 치료를 하게 됩니다. 추가로 비타민 D와 칼슘 섭취를 늘리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특히 근력 운동으로 하지 근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지요.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골다공증은 기본적으로 칼슘과 비타민D가 함유된 약을 복용하게 됩니다. 그 외에 주사치료를 시행할 수 있고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뼈의 건강에 좋기 때문에 운동을 꾸준히 하도록 설명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골다공증 약제가 있습니다.

    칼슘과 비타민d 섭취는 꾸준히 해주고

    골다공증 약을 쓰셔야합니다.

    이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Bisphosphonates . 제를 사용합니다

    비스포스포네이트제는 파골세포의 기능이상을 유발하고 조골세포의 , 기능은 정상화시켜서

    골흡수를 막습니다.

    또한

    RANK Ligand Inhibitor를 사용하기도 하는데요

    RANKL은 파골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데,

    이러한 의기전을 , RANKL , 억제하여 골흡수를 억제하는것입니다.

    대표적으로 프롤리아 , 엑스지바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골밀도 수치가 어느정도 되시나요?

    추가적인 골밀도 감소를 최대한 늦추기 위해서 약을 복용하거나 주사제를 사용하시는게 맞습니다.

    칼슘과 비타민D를 챙겨먹으셔야겠고 가벼운 체중부하운동을 해주셔야 골밀도가 추가적으로 떨어지는걸 방지할 수 있습니다. 골절 위험을 줄이기 위해 충격이 가해지거나 넘어질 수 있는 운동은 자제하셔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