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세포벽은 원핵생물이나 균류의 세포벽과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동물이외에 많은 생명체들이 세포벽을 가지고 있는데요. 셀룰로스로 구성된 식물 세포벽은 원핵생물이나 균류의 세포벽과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나요?
식물, 원핵생물, 균류의 세포벽은 주된 구성 성분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입니다. 식물 세포벽의 주성분은 셀룰로스(cellulose)라는 다당류인 반면, 대부분의 원핵생물(세균) 세포벽은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이라는 당과 아미노산의 복합체로 구성됩니다. 균류의 세포벽은 곤충의 외골격 성분과 동일한 키틴(chitin)이라는 다당류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냅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식물 세포벽은 주로 셀룰로스 펙틴, 헤미셀룰로스로 구성되지만
원핵 생물은 펩티도 글리칸 균류는 키틴이 주성분이라 화학조성이 다르답니다.
또한 식물은 광하ㅏㅂ성 성장 조절용 구조, 세균, 균주는 보호 형태 유지 중심으로 기능 차이가 있답니다.
식물이나 원핵생물, 균류의 세포벽은 각기 다른 주요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차이가 있습니다.
먼저 식물 세포벽의 주성분은 셀룰로스로, 촘촘한 섬유 구조를 이루어 세포의 형태를 지지하고 단단하게 만듭니다.
반면 원핵생물(세균) 세포벽은 주로 펩티도글리칸이라는 독특한 당-아미노산 복합체로 이루어져 있어, 삼투압 변화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균류 세포벽은 키틴이라는 단단한 다당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곤충의 외골격과 유사한 물질입니다.
안녕하세요. 말씀해주신 것과 같이 세포벽은 동물 세포에는 없지만 식물, 원핵생물, 균류에는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중요한 구조인데요 그러나 세포벽은 단순히 세포를 둘러싸는 보호막이 아니라 생명체의 계통과 생태적 요구에 따라 화학적 구성과 구조가 크게 달라집니다. 이때 식물의 세포벽은 셀룰로오스 미세섬유, 펙틴,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셀룰로오스라는 불용성 다당류가 뼈대 역할을 하며, 헤미셀룰로오스와 펙틴이 이를 교차 연결하여 강도와 유연성을 동시에 제공하게 됩니다.
다음으로 원핵생물의 세포벽은 펩티도글리칸이라고 하는 점액성 다당류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펩티도글리칸은 N-아세틸글루코사민(NAG)과 N-아세틸뮤람산(NAM)이 β-1,4 결합으로 연결된 다당류 골격에, 펩타이드 사슬이 교차 결합된 독특한 고분자 구조입니다. 마지막으로 균류의 세포벽은 키틴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키틴은 N-아세틸글루코사민(NAG)이 β-1,4 결합한 직선성 고분자로, 곤충 외골격과 같은 성분이며 강도와 유연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