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신속한후루티190
신속한후루티190

가상화폐거래소의 스테이킹은 정확히 어떤 개념인가요?

업비트 같은 코인거래소에 스테이킹이라는 기능이 있던데, 내용을 보면 스테이킹을 하면 몇 퍼센트의 이자를 준다 이런식인 것 같아요.

일반 은행으로 따졌을 때 예적금 같은 걸 하는 게 스테이킹인가요?

예를 들면 내가 이더리움을 100만원치 사고 그걸 팔지않고 스테이킹 하면 이더리움의 가격 변동에 무관하게 정해진 스테이킹 기간이 지나면 예치했던 당시의 가치만큼 이더리움도 환원해주고 약정된 이자도 준다는 개념인지요?

그렇다면 은행보다 훨씬 좋은 거니까 해보고 싶긴한데, 그 개념을 몰라 망설이는 중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가상화폐 스테이킹은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아닌 해당 코인의 네트워크에서 제공을

      하는 것입니다 거래소는 단지 그 둘을 중계해주는 역할만 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모든 코인에 스테이킹 서비스가 있진 않습니다.

    • 또한 네트워크에서 스테이킹에 대한 보상을 지급하는 이유는 그만큼 해당 코인을 보유하고

      시장에 내놓지 않기 때문에 가격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스테이킹의 개념에 대한 내용입니다.

    스테이킹이란 지분증명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일정량의 암호화폐를 일정 기간 예치하게 되면

    네트워크 보안 강화에 기여하기에

    그 대가로 보상을 이자처럼 받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테이킹이라는 게 은행 예적금이랑 딱 맞아떨어지는 개념은 아니지만 비슷하게 이해할 수는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내가 가진 코인을 그냥 지갑에 두는 게 아니라 거래소나 네트워크에 일정 기간 묶어두고 그 대가로 보상을 받는 구조라고 합니다. 이때 보상은 이자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네트워크 운영에 기여한 대가라는 설명이 맞습니다. 그래서 스테이킹을 하면 원금인 이더리움 자체가 늘어나서 돌려받게 되는 방식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가격 변동은 그대로 영향을 받습니다. 만약 스테이킹한 동안 이더리움 가격이 떨어지면 이자를 받아도 손해일 수 있다는 점으로 은행 예금처럼 원금 보장 개념은 없다고 이해하는 게 안전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테이킹은 코인을 일정기간 예치해 블록체인 네트워크 운영에 참여하고 보상(이자)을 받는 제도입니다. 원리는 은행 예적금과 비슷하지만, 원금 보장되지 않고 코인 가격 변동 위험이 있습니다. 즉, 예치이자를 받더라도 코인 시세가 떨어지면 전체 수익은 마이너스가 될 수 있어 신중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테이킹(Staking)'은 쉽게 말해서, 자신이 보유한 특정 암호화폐를 '코인 네트워크가 잘 돌아가게 도와줄 거야' 하고 일정 기간 동안 묶어두는 것인데요. 묶어둔 코인을 통해 네트워크가 서로 주고받는 거래들을 확인하고, 누가 가짜 거래를 만들지 못하도록 안전하게 지키는 데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그 대가로 묶어둔 코인 외에 추가로 코인을 '보상'으로 주는데요. 마치 은행 이자처럼, 코인이 일을 해서 더 많은 코인을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시행되는 스테이킹의 경우 은행에서의 예금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돈을 입금하면 돈을 찾을 수 없듯이 스테이킹도 일정한 기간동안 코인 매매는 하지 못하지만, 그 기간동안에 대한 이자를 지급받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스테이킹을 통해 추가적인 코인을 획득하고 추후 스테이킹이 해제되면 그러한 코인에 대한 것을 매매할 수 있는 자유로움을 다시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스 현재 코인 매매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테이킹을 하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대다수의 코인은 지분증명 방식입니다 즉 PoW방식으로 이제는 작업채굴 즉 컴퓨터 리소스를 돌려서 일종의 블록이 생성되고 이 블록의 정답을 찾아서 보상을 받는 구조는 비트코인 밖에 없습니다 현재 대다수의 알트코인들은 PoW방식이라는 지분증명방식이며 이는 간단하게 말하면 스테이킹을 통한 락업을 통해서 노드를 유지하고 그에대한 보상을 받아서 지급하는것입니다

    즉 이더리움이나 솔라나등은 발행량이 무한인데 이 발행량이 스테이킹을 통한 노드 생태계를 유지해주고 이 노드가 블록체인 메인네트워크의 분산원장이 되는것이며 여기에서 그에 따른 보상풀을 제공받는것입니다. 그리고 업비트나 빗썸 바이비트등 이런 거래소는 스테이킹을 투자자에게 위임하여 위와 같은 형태로 위임스테이킹을 방식해주는것이고 일부 수수료는 거래소가 챙기고 나머지를 투자자들이 받는것으로 생각하시면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 예금 : 내가 원화를 은행에 맡기면, 은행에서 그 돈을 알아서 운용하고 그것에 대한 이자를 주며 원금까지 보장됩니다.

    코인 스테이킹 : 내가 보유한 코인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맡기는 것, 그것에 대한 대가로 보상을 받습니다.

    이 보상은 대부분은 비슷한 종류의 코인을 줍니다.

    비슷한 개념이기는 하지만 은행예금은 이자가 보장이되고 코인 스테이킹은 원금 보장이 없습니다.

    그 차이를 알고 투자를 실행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 채굴 방식 중에 하나로 보시면 됩니다. 비트코인의 경우 어려운 공식을 풀어서 코인을 얻게 되는 자격증명방식이고 이더리움이나 솔라나 등은 해당 코인을 구매 하여 스테이킹을 맡겨서 코인을 마치 예적금처럼 이자로 받아서 불리는 지분증명방식입니다. 스테이킹은 지분증명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