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똘똘하고멋진쿼카
똘똘하고멋진쿼카

생활비 중 고정비용이 얼마나 드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39

개인마다 다를테니 궁금합니다. 보험료, 교통비, 핸드폰비, 공과금 등을 합한 고정비용 얼마나 내고 계신지. 몇인가구 - 얼마 (ex. 1인가구 - 30만원) 이렇게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저와 같은 경우에는 3인가구로

    매달 차이가 있지만 보험비는 약 40만원,

    교통비는 40만원, 휴대전화비는 10만원, 아파트 공과금은

    대략 35만원 정도를 내고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도 혼자 살고 있고 월세나 통신 요금 이런 것들을 부모님 것까지 내고 있기 때문에 한 달에 200만 원 정도는 고정지출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원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고정지출과 변동지출을 나누는 기준은 매달 발생하는지 여부가 아닌 초기 계약이나 부과되는 방식으로 본인의 임의 조정가능 여부로 나뉩니다.

    지출비중은 가구원 수, 연령대, 거주지역,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평균적인 수준을 참고해보시려면 통계청 - 가계금융복지조사 리포트나 신한금융 - 보통사람금융생활보고서를 참고해보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저희는 초등생 자녀 2명 양육중이며 4인 가족입니다.

    보험료 40만원, 교통비(주유 등) 40만원, 핸드폰비 40만원, 공과금(아파트 관리비) 80만원, 자녀 학교 및 교육비 190만원으로 고정비만 한달 390만원 나갑니다. 여기에는 생활비나 용돈 등은 제외금액이며 다른 4인 가구와 다를 수 있습니다. 금융지출비용은 없으며 54평 아파트 기준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생활비 중에서 고정비로 나가는 비중이 약 80만원 입니다. 공과금(아파트 관리비, 휴대폰 요금)과 보험료가 가장 많이 나가고 있습니다. 3인가구(30대 2명, 5세 미만 1명)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1인 가구의 2023년 소비 평균은 155만원이었으며 이는 주거비, 교통비, 통신비 등을 합친 내용입니다.

  • 초등학생 자녀 1명 포함해서 3인 가구이고 한 달에 고정 비용으로 드는 것이 80만원 정도 선으로 보입니다. 다만 고정 비용이 주유비나 자동차 보험료 등등까지 고려를 하면 더 커지고요

  • 안녕하세요.

    저의 가족 기준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4인 가족 입니다.

    보험료 : 월 40만

    교통비 : 월 30만

    핸드폰비 : 월 7만

    공과금 : 월 50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