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귀요미판다곰198
귀요미판다곰198

신진사대부는 왜 앞에 '신진' 이란 단어가 붙었나요?

고려 시대 말기 신진사대부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신흥 무인처럼 왜 앞에 '신진'이란 단어가 붙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사대부는 학문과 행정에 능한 관료를 말합니다. 고려시대에 과거제가 시행되면서 학문적 능력과 행정적 능력을 고루 갖춘 관료들이 중앙으로 진출하였습니다. 특히 고려 중기 신진 관료인 한안인, 무신 정권 시기에 이규보와 같은 인물에 해당됩니다.

    그런데, 원간섭기에 정방을 통해 권문 세족이 득세하면서 사대부들의 등용길이 막혔지만 공민왕이 과거제를 강화하면서 새롭게 향촌의 향리 출신의 자제들이 새롭게 중앙 진출합니다. 이들은 학문과 행정에 능한 능문능리하여 이전 사대부와 구분하여 신진사대부로 불렸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고려는 초기 호족세력이 권력을 휘어잡았고 이후에는 광종대 실시한 과거제도를 통해 중앙정계에서 성장한 권문세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권문세족은 무신의 난과 몽고 침입등으로 점차 그 세력이 약화되어 갔습니다. 특히 무신의 난 이후 권문세가들이 무신들에 의해 몰살당한후 무신들만으로는 국정 운영이 힘들어 그를 보충하기 위해 한미한 가문이나 중인 출신으로 유교적 소양과 행정력이 뛰어난 새로운 문신들이 등장하니 이들이 바로 신진사대부였습니다.

    '신진'이라는 호칭은 이전과는 달리 새로운 사상과 소양을 가지고 있었기에 그리 이름이 붙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여기서 신진은 '새롭게 나아가다' 라는 뜻인데, 고려 말 공민왕 때 적극적으로 정계에 진출해서 당시 기득권층이었던 권문세족의 폐단을 비판한 세력이라는 점에서 신진사대부라 칭하는 것이 됩니다. ( 이들이 조선 초의 지배층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