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지친하루를견디자
지친하루를견디자

리쇼어링 확산에 따라 무역 실무으 ㅣ수출입 전략은 어떻게 달라져야 하나요?

생산 거점을 해외에서 국내로 전환하면서 수출보다 부품 수입 비중이 커지고 있습니다. 무역 실무에서는 리쇼어링 전환 시 새로운 세관분류, 계약조건, 운송 전략을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생산 거점을 해외에서 국내로 전환하며 부품 수입 비중이 커지고 있다면, 무역 실무에서 리쇼어링에 맞춘 세관 분류, 계약 조건, 운송 전략을 재설정해야 합니다. 세관 분류는 부품별 HS 코드를 재검토하고, 수입 부품이 완제품과 다른 관세율과 규제를 적용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즉, 관세청 UNI-PASS나 관세사를 통해 정확한 분류를 확정하고, 세율 변동에 따른 비용을 사전에 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계약 조건은 기존 수출 중심에서 수입 중심으로 전환하며, FOB 대신 CIF나 DDP 조건을 활용해 운송비와 책임 분담을 명확히 하고, 공급업체와 장기 계약을 통해 가격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합니다.

    운송 전략은 수입 물량 증가에 맞춰 최적화가 필요합니다. 기존 해상 중심이었다면, 부품의 소량·다빈도 수입 특성을 고려해 항공 운송을 병행하거나, 복합운송을 통해 리드타임을 단축시키는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또한, 주요 부품 공급국 근처에 중간 창고를 두고 재고를 관리하거나, 3PL 업체와 협력해 실시간 추적 시스템을 도입하면 운송 지연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런 전략을 통해 리쇼어링 전환 후 수입 중심 공급망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리쇼어링 확산 전략을 구성할때 확산에 따른 수출입 전략을 재구성할때는 해당 공장들에 대한 여건을 먼저 확인해야 하고, 인력, 전략수급 등의 사항을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해외투자 등에 따른 세제혜택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FTA 활용이 가능한지 여부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리쇼어링으로 인해 부품 수입이 증가할 경우, 세관분류는 hs코드의 정밀한 재검토를 통해 정확성을 높이고, 계약조건은 인도조건과 통화 위험 등을 반영해 수입자 중심으로 조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운송 전략은 물류비와 리드타임을 고려해 복수의 운송루트를 마련하고, 긴급 대응 체계도 함께 구축하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