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보도연맹
보도연맹

안녕하세요 아침부터질문하는가난뱅이입니다.잡초는 어떤 씨앗을 인과로 태어나게 되는 것일까요 물도 안줘도 잘자라는거 같고 참 특이하네요

안녕하세요 아침부터질문하는가난뱅이입니다.잡초는 어떤 씨앗을 인과로 태어나게 되는 것일까요 물도 안줘도 잘자라는거 같고 참 특이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잡초는 단지 하나의 식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다양한 풀들을 포함하여 잡초라 하죠.

    먼저 잡초는 많은 양의 종자를 생산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멀리 퍼뜨립니다. 바람, 물, 동물, 심지어 인간 활동을 통해 넓은 지역에 퍼져나가 새로운 땅에서 번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잡초는 일반적으로 재배 작물보다 빠르게 성장하여 경쟁 우위를 점합니다. 짧은 시간 안에 성숙하고 번식하여 토양 영양분과 햇빛을 흡수하는 데 앞서 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게다가 잡초는 종자 외에도 지식, 덩이줄기, 포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번식하기 때문에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 불리한 조건에서도 번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환경적으로는 가뭄, 홍수, 염분, 추위, 더위 등 다양한 악천후를 견딜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하고 번식하며 경쟁자보다 유리한 입장을 가져갑니다. 특히 잡초는 다양한 토양 유형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양분이 부족하거나 오염된 토양에서도 자라며 심지어 다른 식물에게 해로운 토양 조건에서도 번식할 수 있죠. 게다가 잡초는 많은 병충해에 대한 저항성이 강합니다. 살충제나 제초제에 대한 내성도 있어 제초제에도 잘 제거되지 않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잡초는 주로 씨앗이나 줄기, 뿌리 등을 통해 번식하게 됩니다. 잡초의 씨앗은 흙 속에 묻혀 있거나 흙 위에 떨어져 있는 상태로 자라기 시작합니다. 

    잡초는 흙 속에 있는 영양분을 이용하여 빠르게 자라기 때문에 물을 많이 주지 않아도 잘 자라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잡초는 일반적으로 빠른 생장 속도와 강인한 생존력을 가지고 있어서 환경 조건이 좋지 않아도 잘 자라고 번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잡초라는 것도 하나하나 따지고 보면 모두 이름이 있고 종이 있습니다. 단지 사람들이 잘 모르거나 흔하기에 잡초라 불리우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잡초'라는 말은 일상에서 많이 쓰는 용어이고, 농업적인 측면에서는 나쁜 의미로 병해충을 옮기거나 작물을 잘 자라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식물로 보는데요, 이는 한 종의 식물의 이름이 아니며 재배하고자하는 식물 이외의 모든 식물을 말하는 것입니다. 잡초는 생명력이 매우 강하고, 아무리 뽑아내더라도 다시 자라나며 개체수도 많은데요, 우선 잡초는 다른 식물보다 싹을 틔우는 시기가 매우 빠릅니다. 실제 잡초는 추위가 사라지지 않은 2월 말부터 논·밭에서 나타나기 시작하는데요, 이렇게 다른 식물보다 먼저 싹을 틔우게 되면 그만큼 경쟁에서 살아남을 확률도 높아집니다. 또한 잡초는 성장속도가 매우 빠른데요, 대다수 잡초는 강한 햇빛이나 건조한 날씨에 잘 견디며, 몸속에 이산화탄소를 저장해 놓고 있다가 광합성에 이용할 수 있어 여타 식물에 비해 훨씬 빨리 자라나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잘 아실것이라 생각하지만, 실은 잡초라는 이름을 가진 식물은 따로 없고 잡초라 할지라도 다들 고유의 종에 속하는 식물이지요. 인간이 인위적으로 심지 않은 풀들을 잡초라고 일컫기도 하니까요. 이러한 잡초는 그 수가 많고 여러 종이 섞여 자라기도 하므로 씨앗 또한 널리 퍼져 세대를 거듭하여 번식하기도 합니다. 

    또한 한국에서는 잡초로 여겨질 정도로 길가에 흔하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흔치않은 식물이거나 뛰어난 활성성분을 가진 약용 식물도 많습니다. 

    예시로 몇가지를 들자면, 사실 쑥도 국내에서는 잡초라 불릴정도로 길가에 흔하지만 뜯어서 어린잎을 많이 먹기도 하고, 항염효과가 뛰어나 약용으로 쓰기도 합니다. 이 밖에도 국화과에 속하며 길가에 보라색 꽃이 예쁜 벌개미취라는 잡초는 항암 활성이 뛰어나기도 합니다. 환삼덩굴 등의 식물도 마찬가지이지요.

  • 잡초는 강한 생존력을 가진 식물로,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며 자라납니다. 잡초의 씨앗은 바람, 동물, 물 등에 의해 쉽게 퍼지며, 건조하거나 척박한 환경에서도 발아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물을 주지 않아도 잘 자라는 특성을 가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