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률이 낮으면 무조건 좋은 지표라고 해석해야하나요?
실업률이 낮다라는건 그만큼 취업을 다 했다라는거니깐 경기가 살아났다라는 뜻으로 해석이 되긴하는데 너무 낮으면 문제가 될수있을수도있는건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업률이 낮다는 것은 완전고용시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실업률이 낮은것은 경제 지표상으로 호재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실업률이 낮다고 하여 취업률이 높진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실업률을
계산할 때 경제참여인구를 대상으로 산출하는 통계의 함정이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실업률이 낮으면 무조건 좋은 지표라고 해석해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실업률이 낮은 것은 일단 좋은 지표이며
일반적인 상황에서라면 무조건 좋은 지표라고 해석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실업률은 낮으면 좋은 것은 맞습니다.
낮다는 건 기업이 고용을 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진 것이고, 일할 사람도 많은 것입니다.
다만, 너무 낮은 실업률은 구인난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일할 사람은 결국 한정적인데, 실업률이 올라오지 않으면 결국 직원을 구하지 못한단 것이고,
인건비는 과도하게 상승해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실업률이 낮으면 경기 회복 신호이지만 도동창여율이 낮아지게 되면서 생긴 착시일 수도 있습니다. 왜 낮은가 배경을 함께 분석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업률지표에는 큰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비경제활동인구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문제는 비경제활동인구에서 학생이나 또는 구직포기자들 백수들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즉 최근 한달간 적극적으로 취업활동을 하지 않으면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가 되며 이말은 퇴사후 한달이 넘어갈정도로 쉰다거나 아니면 취직은 하고 싶은데 그냥 마땅히 들어갈만한 회사가 없어서 몇달이상 그냥 쉰다거나 하면 비경제활동인구로 포함된다는것입니다
문제는 현재 한국에서 청년층의 비경제활동인구가 사상최대로 지속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감안하지 않은게 실업률 지표이므로 단순한 실업률 표면 지표로서 실업률이 낮다고 보시면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낮은 실업률이 노동 시장의 경직성을 초래하여 새로운 산업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떨어뜨릴 수도 있고, 채용할 인원이 없어서 기업들이 필요한 인재를 제때 채용하지 못해 생산에 차질이 생기거나, 과도한 임금 인상으로 물가가 오르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업률이 낮으면 경제에 활력이 돌고, 소득과 소비가 늘어 긍정적 효과가 많습니다. 하지만 실업률이 너무 낮으면 기업이 인력 구하기 어렵고, 임금 상승과 인플레이션, 인재 부족, 생산성 저하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적정 실업률(3~5%)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업률이 낮다는 것은 경제가 활성화되고 일자리가 풍부하다는 것으로 좋은 신호로 작용합니다.
실업률이 낮아지면 가계 소득이 증가하고 소비가 활성화되어 사회적 안정이나 경제 성장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너무 낮은 실업률의 경우 과잉 투자가 발생할 수 있으며 주식이나 부동산 등의 자산 버블이 만들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업률이 낮다고 하는 것은 사람들이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있다., 경제가 잘 돌아가고 있다. 따라서 가계 소득이 증가하고, 이는 세수로 확보가 잘되고 있어. 라는 의미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실업률이 낮을때 발생하는 문제로는 꾸준한 노동으로 인해, 또는 보다 나은 인재를 발굴하기 위해 많은 임금이 발생하거나 들수 있어, 이에 따른 임금 상승과 임금부담이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실률이 낮다고 해서 무조건 좋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실업률이 너무 낮을 때는 기업들이 사람을 구하기가 쉽지 않고, 인력 구인난에 따른 임금이 빠르게 상승하여 인플레이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실업률 뿐만 아니라 고용률, 경제활동참가율, 임금상승률, 물가상승률 등을 함께 참조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