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의 작동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요즘 신용카드나 usb나 대부분의 전자장치에 ic칩이 들어가있는데 그 조그만한 장치에서 어떻게 데이터를 읽어주는지 원리가궁금합니다
IC칩은 반도체 기반의 집적회로(Intergrated Circuit)를 내장한 카드입니다. 이 IC칩은 비접촉식과 접촉식이 있는데요. 금속패턴의 많은 정보가 들어있어서 그 정보를 리더기에서 직접적 읽어서 작동되게 하는 것이 접촉식이고요. 비 접촉식은 주파수를 활용해서 리더기에서 주파수를 보내면 유도전력이 생기면서 IC칩에서 데이터를 보내주고 그것을 읽어서 작동하는 원리입니다.
안녕하세요
IC 칩에서 데이터를 읽는 원리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첫째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입출력 핀을 통해 특정 전압 레벨의 전기 신호가 적용되면 칩 내부의 트랜지스터 회로망이 작동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하며, 여러 핀을 통해 동시에 여러 비트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데이터 버스를 사용해 더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둘째는 광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일부 칩은 광섬유를 통해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레이저 빛의 파장 변화를 사용해 데이터를 암호화한 후 광 검출기를 통해 다시 전기 신호로 변환해 처리합니다. 이 방식은 전기적 간섭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IC 칩은 이러한 전기적 또는 광학적 신호를 통해 외부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복잡한 계산 및 처리를 수행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IC는 Integrated Circuit의 약자로 여러 개의 전자 부품이 하나의 칩에 집약되어 있습니다. IC의 작동 원리는 반도체를 통한 전기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논리 연산, 데이터 저장, 신호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내부에는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저항기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이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고유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메모리 기능을 수행하는 IC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 이 데이터를 읽어낼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이 언급한 신용카드나 USB 같은 장치에서는 IC가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기능 가능성은 IC의 내부 회로 설계와 구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IC, 즉 집적회로는 작은 실리콘 칩에 수많은 트랜지스터가 밀집되어 배열된 구조로, 다양한 전자 회로 기능을 수행합니다. IC가 데이터를 읽고 처리하는 원리는 트랜지스터가 전자의 흐름을 제어하는 데 있습니다. 각 트랜지스터는 스위치처럼 작동하여 신호를 처리하고 저장하며, 이들을 조합하여 복잡한 연산을 수행합니다. 신용카드나 USB 장치의 IC는 저장된 데이터를 조작하고 전송할 수 있는 회로가 포함되어, 외부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교환합니다. 칩 내부의 정확한 작동 방식은 설계에 따라 다르지만, 이 모든 과정이 초고밀도로 집적되어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