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심해의 생물들은 어떻게 수압을 버틸까요??

바다 깊이 내려갈 수록 엄청나게 압력이 높아진다고 해요.

그래서 1km 내려가면 100기압이라고 하는데

가장 깊은 곳에 사는 물고기가 8000m 정도에 산다고 하는데

계산해보면 8km , 800기압이거든요??

아무리 갑각류? 이런 생물이 산다고 해도 800기압을 어떻게 버티나요??

금성에 탐사선을 보내면 100기압에도 다 부서진다고 하는데 말이죠.

이런 극한의 상황에서 심해생물들은 수압을 어떻게 버티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진화했는데, 가장 큰 부분은 몸에 기체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니다.

    즉, 높은 수압을 받는 심해생물들은 일반 생물들과는 다른 구조를 갖게 되는데, 가장 큰 특징이라면 몸속 빈 공간에 공기대신 물이나 기름을 채워 넣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몸 안에 물과 몸 밖에 있는 물의 압력이 균형을 이뤄 몸이 압력으로 찌그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기에 대부분의 심해어는 부레가 없습니다.

    또한 심해 생물들은 고압에서도 세포 사이의 물질전달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막 구조에 불포화지방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수압을 견딜 수 있습니다.

  • 심해 생물들이 엄청난 수압을 견딜 수 있는 이유는 심해 생물들의 세포막과 조직이 고압에 잘 견딜 수 있도록 진화했으며 체내 단백질과 효소의 구조가 고압 환경에 맞춰 변형되어 기능을 하기때문입니다. 또 몸 속 삼투압 조절 능력이 탁월해 수압에 의해 세포가 터지거나 건조해지지 않고, 외골격이나 두꺼운 피부 등의 단단한 외부 구조물도 수압으로부터 내부 기관을 보호해주기 때문에 상당히 높은 수압의 심해에서도 살아갈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생명과학전문가 이상현 입니다.

    심해 물고기들은 수압을 버티기위해서 신체여러부위를 부드럽고 흐물흐물한 연조직으로 바꾸고, 뼈 역시 물렁뼈를 많이 배치하여 압력에의해 탄력있게 변화하도록 되어있습니다.

  • 수심이 10m 내려갈 때마다 수압이 평균 1기압씩 증가하는데 이 원리대로 계산하면 수심 10km의 해구에 사는 심해 생물은 무려 1천기압의 압력을 받는 것과 같습니다. 하지만 높은 수압을 받으며 살고 있는 생물들은 천해 지역의 생물들과는 다른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심해에서도 서식이 가능합니다. 가장 큰 특징은 몸속 빈 공간에 공기대신 물을 채워넣는 것인데 이렇게 하면 몸 안에 있는 물과 몸 밖에 있는 물의 압력이 균형을 이뤄 몸체가 찌그러들지 않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심해 어류는 부레가 없습니다. 또 심해 생물들은 고압에서도 세포 사이의 물질전달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막 구조에 유연한 불포화지방을 다량 함유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대부분의 심해 생물은 공기주머니가 없기 때문에 수압을 버틸 수 있습니다. 공기주머니가 없다는 건 몸속에 기체 덩어리가 없다는 뜻이므로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습니다. 일부 심해 생물들은 공기주머니가 있으며 이들은 공기주머니에 오일을 채워 압력을 이깁니다. 감사합니다.

  • 일부 심해생물은 특수한 생리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어 수압에 잘 버티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심해생물의 세포막은 강화되어 있어 수압에 잘 버티며, 내부 액체의 조절을 통해 균형을 유지합니다. 또한 일부 심해생물은 수압에 적응하기 위해 특수한 단백질이나 분자를 이용하여 세포 내부의 구조를 유지하고 수압에 대비합니다

  • 심해에 사는 동물들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수압을 몸으로 버틸 수 있는 구조가 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몸의 안에 있는 압력과 밖의 압력을 갇게 만듬으로써 압력의 차이를 줄이게 되어 몸의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