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3.12.16

맞벌이로 조부모 아이 양육시 정서적으로 좋을까요?

요즘은 대부분 맞벌이 부부가 많은 것 같습니다.

동서가 현재 남자 아이 2명을 친정 부모님이 맡아주시는데

아이가 말도 없고 잘 웃지도 않는다고 하네요.


현실적으로 어쩔수 없는 상황이지만 아이에게는

어떨지 모르겠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조부모의 아이 양육은 역사가 깊습니다.

    조부모가 자녀를 카워본 경험과 지혜를 바탕으로 한 세대를 건너 손주룰 양육하고 교육하는 것을 '격대육아'라고 합니다.

    아이들이 부모님이 케어하실때 보다 편하지는 않겠지만

    아이들의 사회성은 많이 발달할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상황상 어쩔수 없겠지만 부모님 밑에서 크는게 아이들의 정서에 가장 좋습니다. 모르는 사람보다는 할머니가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요즈음엔 대다수가 맞벌이 가정이라서, 조부모님이 아이들을 케어를 하는 가정이 많답니다

    할머니, 할아버지가 케어를 하게 되면, 더 손자들에게 사랑을 주시므로, 정서적으로도 안정된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부모가 케어를 하는 게 가장 좋은 육아 방식이지요

    어쩔 수 없이 조부모에게 맡기게 된다면, 아이의 정서 발달을 고려해서 더 많이 사랑해주고, 함께 하는 시간을 늘려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17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른에 대한 공경심을 배울수 있고 자신을 부모처럼 사랑해주는 조부모와 많은 교감을 하며 정서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어요. 그리고 아이의 요구를 금방 알아차릴 수 있는 것도 조부모 육아의 장점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급적 부모님이 주양육육자가 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어쩔 수 없는 상황이지만 아이와 시간을 보낼 수 있을 때

    아이와 시간을 많이 보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꼭 조부모에게 아이를 맡긴다고 안좋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조부모가 부모이상으로 아이에게 애정을 주고 안정감을 주면 아이역시 안정감을 얻을수있을것입니다

    다만 부모가 맞벌이하고 이러한상황에 대해서 아이에게 이야기해주시는것이 좋으며

    퇴근 후에는 아이에게 애정을 많이 표현하는것이 중요할수있으며

    이러한 과정이 없다면 아이의 애착은 불안정해질수도 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맞벌이로 조부모에게 아이를 맡긴다고 해서 아이가 탈선을 하거나, 불안감을 갖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조부모님과 생활하는 것과 주목과 생활하는 것은 분명 차이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늦은 퇴근 후, 아이의 눈을 맞추고 잠깐 대화를 나누는 시간을 가져야 하고, 일주일에 한 번 보는 경우라면 일주일에 그 한 번 하루는 아이와 함께 해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매일 전화통화를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한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 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봐주는 것도 가장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입장에서보면

    부모에게버려졌다는유기불안이생길수있으며

    조부모의양육에따라다를수있으나

    불안감이나애착은 불안정성은 어쩔수없을겁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아이마다 성격이 달라 같은 상황이더라도 받아들이는것에 차이가 있더라구요.

    모든 아이들은 부모와 함께 하는것이 정서적으로 더 안정감도 편안함을 느끼고 배우면서 성장하게 돼요.

    상황이 어쩔 수 없다면 될수있으면 많은 시간을 아이들과 함께 놀아주고 스킨십 해주면 공감하고 사랑표현을 많이 해주셔요.

    부모의 자리가 부족하지 않게 듬뿍요.

    그리고 부모님의 상황을 이해 할 연령이라면 아이에게 이야기 해주는것도 좋을듯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