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대부분 녹조는 여름에 많이 생기는데 겨울에도 생기는 이유는 뭘가요

우리가 녹조 하면 더운 여름날에 초록색으로 되어 있는 강물이 생각이 많이 나는데요

이러한 녹조가 겨울에도 생기던데 왜 겨울에도 생기는지 궁금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보통 녹조를 일으키는 남조류는 20~30℃의 높은 수온에서 가장 활발하게 번식하여 여름에 심각한 녹조 현상이 발생하곤 합니다. 하지만 드물게 겨울철에도 녹조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이유로는 몇 가지를 들 수 있습니다. 우선, 기후 변화로 인해 겨울철에도 평균 수온이 과거보다 높아지면서 남조류의 활동이 완전히 멈추지 않고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가정 하수나 산업 폐수, 농업용 비료 등에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질소나 인 같은 영양분이 계절에 상관없이 수중에 축적되면서, 낮은 수온에서도 일부 조류가 성장하는 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겨울철 강수량이 적어지면 하천의 물 흐름이 느려져 오염물질과 영양분이 정체되면서 조류가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 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겨울철 녹조는 기후 변화, 영양분 유입, 그리고 유속 감소와 같은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계절에 관계없이 깨끗한 수질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겨울에도 조건이 맞으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 수온이 높아지며 조류가 발생하고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또한 생활하수나 오염 물질이 축적되면서 조류 번식을 가속화 하며, 수위가 낮아지고 일사량이 증가하게 된다면,

    녹조 발생 확률이 높아 지게 됩니다. 이는 가속화 되는 기후 변화로 발생 가능성 증가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