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Ditto
Ditto24.02.07

행성이 되려면 갖춰야 할 조건이 있나요?

행성이 있고 소행성이나 왜소행성이 있다면 행성이 되기 위해 행성이 갖추어야 할 조건이 있을 것 같은데요. 예를 들어 둥근 구 모양이어야 한다...처럼요. 어떤 조건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행성의 조건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는지

    충분히 크고 무거워서 둥근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는지

    주변에 천체들을 위성으로 만들거나 밀어낼수 있는지 등의 조건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행성은 태양계 내에서

    별 주위를 공전하며 다음 세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천체입니다.

    충분한 질량을 가지고 있어야

    자신의 중력으로

    수평력을 극복하고 스스로 구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이는 대략 지름 4000km 이상의

    크기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별 주위를 공전해야 합니다.

    궤도 주변의 다른 천체를 일소해야 합니다.

    자신의 궤도 주변 공간에서

    다른 천체의 영향력이 미미하여

    자신의 중력으로 궤도를

    지배해야 합니다.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행성의 조건에 대한 자세한 설명

    충분한 질량을 가지고 있어야 자신의 중력으로

    수평력을 극복하고 스스로

    구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천체의 질량이 충분히 크면 중력이 강해져

    스스로 구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지름 4000km 이상의 천체는

    스스로 중력으로 구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명왕성은 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합니다.

    명왕성은 지름 약 2370km로 스스로

    완벽한 구형을 유지하기에는

    질량이 부족합니다.

    별 주위를 공전해야 합니다.

    행성은 별 주위를 공전하는

    궤도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궤도는 타원형일 수 있으며 다른

    천체의 영향으로 변형될 수 있습니다.

    태양계 외 행성은 다른 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입니다.

    궤도 주변의 다른 천체를 일소해야 합니다.

    행성은 자신의 궤도 주변 공간에서

    다른 천체의 영향력이 미미하여 자신의

    중력으로 궤도를 지배해야 합니다.

    이 조건은 왜행성과 구별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왜행성은 궤도 주변에 다른 천체들이

    존재하며 자신의 중력으로

    궤도를 완전히 지배하지 못합니다.

    위의 조건 중 1번과 2번은

    만족하지만 3번째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천체입니다.

    명왕성 에리스 세레스 등이 왜행성에 속합니다.

    태양 주위를 공전하지만 행성이나

    왜행성으로 분류되지

    않는 작은 천체입니다.

    대부분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분포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국제천문연맹의 태양계 행성의 자격을 '태양의 주위를 돌아야 하고, 충분한 질량을 가져 자체 중력으로 타원이 아닌 구형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공전 구역 안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천체이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이 기준에 따라 2006년 8월 24일, 명왕성은 태양 주위를 돌고 구형인 천체지만 공전 구역 안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는 천체여서 결국 태양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행성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아서 반가워요. 행성이 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있어요. 가장 중요한 조건은 둥근 모양이에요. 이것은 중력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둥근 모양이 아니라면 행성이 아니라고 할 수 있어요. 그리고 행성은 주변을 돌아가는 다른 천체들을 지배할 수 있는 크기를 가져야 해요. 이를 행성의 크기 조건이라고 할 수 있어요.

    그리고 행성은 주변을 돌아가는 천체들과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조건을 갖고 있어요. 예를 들어 태양 주위를 돌아가는 천체들 중에서 가장 큰 천체가 행성이 되기 위해서는 그 천체의 주변을 돌아가는 다른 천체들을 지배할 수 있어야 해요. 이를 행성의 지배 조건이라고 할 수 있어요.

    그리고 행성은 자신의 주변을 돌아가는 천체들과의 관계에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해요. 이를 행성의 안정성 조건이라고 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태양 주위를 돌아가는 천체들 중에서 가장 작은 천체가 행성이 되기 위해서는 그 천체의 주변을 돌아가는 다른 천체들과의 관계에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해요.

    행성은 자신의 주변을 돌아가는 천체들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궤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해요. 이를 행성의 궤도 조건이라고 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태양 주위를 돌아가는 천체들 중에서 가장 작은 천체가 행성이 되기 위해서는 그 천체의 주변을 돌아가는 다른 천체들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궤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해요.

    이렇게 여러 가지 조건들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둥근 모양과 크기 조건이에요. 그리고 이 조건들을 충족하는 천체들이 행성이 되는 것이죠. 제가 지구를 비롯한 태양계의 행성들을 보면 이 조건들을 충족하고 있어요. 이렇게 조건들을 충족하지 못하는 천체들은 소행성이나 왜소행성으로 분류되는 것이죠.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