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을 거래해 보려고 하는데 PTP 종목이라는 것이 있더라구요 어떤 종목인지? 앞으로의 전망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미국 주식을 거래해 보려고 하는데 PTP 종목이라는 것이 있더라구요 어떤 종목인지? 앞으로의 전망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주린이라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PTP라는것은 '공개거래 파트너십'으로, 일반적인 주식회사와는 완전히 다른 법적 구조를 가진 투자 상품입니다. PTP는 PTP는 회사 단계에서 세금을 내지 않고, 모든 수익과 손실이 직접 투자자에게 귀속되는 '통과과세'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때문에 투자자는 주주가 아닌 '유한책임 파트너'가 되며, 배당금 대신 '분배금을 받게 됩니다.
이에 현재 미국에서 PTP 종목의 특징은 인프라, 부동산, 자원등을 개발하는 사업분야가 많으며 대표적인게 MLP, KMI, EPD와 같은 종목이 유명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2023년부터 미국 국세청 규정에 따라, 미국 거주자가 아닌 외국인 투자자가 이 종목을 매도할 경우 매도금액의 10%가 현지 세금으로 원천징수됩니다. 해당 규정은 손익과 무관하게 적용되며, ETF와 LP형태로 상장된 인프라/에너지 기업 등 약 200여개가 포함됩니다. 세금 면제는 발행기업이 Qualified Notice를 발행한 경우에만 한시적으로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주식에서 말하는 PTP는 Publicly Traded Partnership의 약자로 주식처럼 거래되지만 세법상 파트너십으로 분류돼 배당이 아닌 배당소득세와 별도의 원천징수 규제가 적용되는 종목을 뜻합니다. 주로 에너지 파이프라인이나 원자재 인프라 기업이 많고, 배당 수익률이 높아 보이지만 해외 투자자에겐 세금 부담이 클 수 있습니다. 전망은 유가 흐름이나 에너지 정책에 크게 좌우되며, 안정적 현금흐름이 장점이지만 변동성도 커서 투자 시 세금 구조와 산업 리스크를 같이 살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PTP라고 해서 괜히 어려운 줄 알았는데 사실은 Publicly Traded Partnership이라는 말입니다. 쉽게 말하면 주식처럼 거래되지만 법적으로는 파트너십 구조인 회사라고 보면 됩니다. 대표적으로 에너지 파이프라인 운영하는 MLP들이 여기에 속하죠. 문제는 우리나라 투자자 입장에서는 세금이 꽤 세게 붙습니다. 미국에서 원천징수율이 37%까지 가는 경우가 많아서 배당 받아도 체감 수익률이 확 깎여버립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PTP종목은 미국 증시의 가스, 원유, 금, 은 등 원자재, 부동산, 인프라 등에 대한 투자 종목을 의미합니다. 2022~2023년에는 유망한 종목이었으나 지금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주식의 PTP 종목에 대한 내용입니다.
PTP란 Publicly Traded Partenrship의 약자로
천연자원 및 부동산 등에 투자하는 기업의 지분을
증권 시장에서 거래하게 되는 공개거래합자회사를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