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고결한게244
고결한게244

야외 활동 후 팔목에 좁쌀만한 두드리기 발생?

성별
남성
나이대
57
기저질환
없음
복용중인 약
없음

요즈음 밭일을 하는 시기라서 밭에 종종 니갔다오면 팔에 좁쌀만한 두드르기가 몇개 올라와 있습니다. 휴식을 취하고 있으면 자꾸 가렵습니다. 계절탓인지 아니며 여름이되니 햇빛이 강해서 일어나는 현상 인지 모르겠습니다 무엇때문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연한올빼미163
      유연한올빼미163

      안녕하세요. 이서원 의사입니다.

      일하시는 환경에 알레르기인자가 있어 발생한 알레르기성 두드러기 일 수도 있고, 땀을 흘리거나 노동을 하면서 발생한 콜린성 두드러기 일 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은 피부따끔검사를 통해 진행하시어 적절한 치료계획을 잡으시길 권해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 호소하시는 증상만으로 정확한 원인을 유추하기는 어렵습니다. 만약 긴팔을 입지 않고 작업을 하시면서 풀에 자주 부딪히는 일이 있다면 접촉성 피부염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피부과에 내원하시어 진료 및 적절한 처방을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 자외선이 강해지는 시기인만큼 긴팔로 팔을 보호하고 일을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피부증상은 피부과 전문의가 직접 보아야 진단이 가능합니다. 글로 표현해서는 한계가 있습니다. 피부과에 내원하여서 병변을 피부과전문의에게 보여주고 정확한 진료를 받으시길 권해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벌레물림, 햇빛에 의한 자극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피부병변으로 생각됩니다.

      가까운 피부과에서 정확한 원인을 감별해보시기 바랍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사진을 찍어서 보여주시면 판단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햇빛에 노출되면서 두드러기가 생기는 경우도 있고 야외에서 활동하다보면 벌레에 의해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또 특정 물질에 알러지가 있으시면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원인 물질을 파악하고 노출을 피하는게 중요하겠고 원인이 무엇이 됐던간에 치료는 냉찜질, 항히스타민제 복용, 스테로이드 연고 도포가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밭일을 하고 오셨을 경우인 점을 봤을때 접촉성 피부염 등의 알레르기 질환일 가능성이 있겠습니다.

      계속 반복되신다면 가까운 피부과에 내원하시어 정확한 진단 및 약물처방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일단 햇빛에 의한 반응이거나 풀이나 다른 것이 접촉하면서 발생한 접촉성 알레르기일 가능성이 있으며 벌레에 물려서 발생한 증상일 수도 있습니다. 일단 밭일을 하실때는 긴팔, 긴바지, 모자 등으로 노출되는 부분은 가려주시고 증상이 반복된다면 피부과에서 진료를 보시는 것이 도움되겠습니다.

    • 말씀하시는 증상 및 정황만으로는 안타깝지만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하거나 특정한 질병을 의심할 수 없습니다. 다만 밭일을 한 뒤에 증상이 나타난다면 모르는 사이에 알러지 반응을 유발하는 항원을 접촉하였거나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키는 물질을 접촉하였을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피부과에서 약물을 처방 받아 복용하시어 조절하며 경과를 지켜보시길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실제로도 일광에 노출된 후 일광 알레르기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땀을 흘리면서

      일을 하는 경우에도 콜린성 두드러기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는 식사를 한 후

      햇빛 속에서 땀을 흘릴 정도로 일이나 운동을 하는 경우 혈관이 확장하면서 그 부분에

      Mast cell 이 유출되면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으며 대부분은 쉬면서

      땀을 식히고 찬물에 샤워를 하면서 호전되게 되며 심한 경우 항히스타민제 등 알레르기

      약을 드시면 호전되지만 완치되지는 않는 단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원인의 가능성이 있는 콜린성 두드러기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콜린성 두드러기가 나타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온도차가 심한 실내외에 들어가거나 나올 때, 따뜻한 물로 샤워해 몸이 달아 오를 때, 맵고 뜨거운 음식을 먹었을 때, 집중하거나 긴장할 때, 화가 났을 때나 당황했을 때, 그 외 갑작스런 심리적 충격이나 불안 등 물리적 정신적 원인으로 신체에 갑자기 열이 오르는 상황이면 언제든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단 콜린성 두드러기가 오면 다음의 현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홍색 발적에 둘러 싸인 직경 2-4 mm의 구진성 팽진이 특징적으로, 소양감을 동반하며 2-20분 이내 빠르게 발생하며 30분-1시간 정도 지속 됩니다.

      피부 증상 외에 맥관 부종, 복통, 저혈압, 천명 등의 전신 증상이 드물게 동반 되기도 합니다.

      치료법은 항히스타민제의 사용이 보편적이며, 그 외 DANAZOL, 베타차단제 및 SCOPOLAMINE을 이용한 대중요법 들이 있으나, 일반적인 약물요법으로는 반응이 없는 콜린성 두드러기의 경우도 많아 다양한 치료가 시도되고 있습니다.

      자가 땀을 이용한 급속 탈감작 치료, 성상 신경절 차단술, 오말리주맙을 이용한 항 IgE 요법 등이 새로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햇볕이 문제일수도 있습니다.

      원인은 물리적인 자극, 약제, 음식 등 다양한 것들이 있습니다. 원인을 찾기 위해서 알레르기 피부반응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원인이 규명된 경우 해당 원인을 피하는 것이 첫 번째 치료입니다.

      증상에 맞게 치료하는 것은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는 것이고, 이후에도 증상이 조절되지 않으면 단기간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등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병원 방문하여 상담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