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가 미국 관세 맞으면서도 러시아랑 붙는 게 무역 전략이 될 수 있을까요
미국이 인도 수출품에 관세를 엄청 올렸는데도 인도는 내수시장 믿고 러시아 중국하고 더 가까워지고 있잖아요 이런 흐름이 한국 기업들 입장에선 새로운 기회가 될지 아니면 또 다른 위험이 될지 좀 헷갈립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인도가 미국 관세 압박에도 러시아와 중국과 손잡는 건 내수 기반이 튼튼하고 에너지 자원 확보를 중시하기 때문입니다. 한국 기업 입장에서는 인도가 대체 시장으로 열릴 수 있다는 기대도 있지만, 동시에 블록화가 심해지면 기존 미국 중심 교역망에서 불확실성이 커질 위험도 있습니다. 특히 원자재 가격 변동이나 결제 구조 변화가 따라올 수 있어, 우리 기업은 인도와의 직접 거래 기회를 보면서도 환율 리스크와 통상 규제 변수를 같이 관리해야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인도의 무역 전략을 보면 흥미로운 부분이 많습니다. 미국이 관세를 올렸음에도 불구하고 인도는 내수시장 규모와 성장세를 믿고 러시아나 중국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런 선택은 단기적으로는 미국 시장 의존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지만 동시에 서방과의 갈등을 키울 수 있다는 부담도 있습니다. 우리나라 기업 입장에서는 이중적인 시각이 필요합니다. 인도가 러시아 에너지와 중국 공급망을 활용해 가격 경쟁력을 유지한다면 원가 측면에서 우리 기업도 협력 여지를 찾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미국과의 마찰이 커지면 제재나 규제 확산이 인도와 거래하는 제3국 기업들까지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큽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1차적으로능 기회라고 판단됩니다. 비록 겹치는 것이 많이 없으나 인도 제조업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부분을 한국이 대체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경제차이로 인하여 겹치는 제조업이 많지 않기에 실질적인 혜택이 있을지는 확인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인도에 대한 고세율의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습니다.
https://news.kbs.co.kr/news/mobile/view/view.do?ncd=8341357
인도는 미국의 높은 관세정책에도 불구하고 내수시장과 러시아 등과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외교/무역 다변화를 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기업들은 이에 대한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나, 인도에 진출해 있는 기업 등의 경우 다국적 리스크 관리와 시장다변화를 진행함에 있어서 해당 국가들과의 비즈니스를 진행해야 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