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유목민족들의 국가가 개방적이고 교역이 많은 이유가 무엇일까요
과거 유목민족들이 건국한 원나라나 요나라등이 상대적으로 개방적이고 외부와 교역이 많았다고 들었습니다 반면 한족 한국 일본의 국가들은 폐쇄적인 모습을 보이는데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유목 민족의 삶은 끊임없이 이동해야 하면서 생활을 이어갔습니다. 따라서 유목 민족은 다양한 문화와 접촉하기 때문에서 개방적 사고 방식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유목 생활의 특성상 유목 민족은 새로운 기술과 정보를 빠르게 받아들이고 융합할 ㅅ 있는 능력과 포용성이 높습니다.
반면에 농업 민족인 한족과 한국인은 토지와 생산물을 지키기 위해 배타적이고 자주적 성격이 강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유목민족은 가축들이 풀을 뜯어먹고 살아야하기에 항상 거주지를 옮겨다녀야 했습니다. 따라서 물질적이든 정신적이든 고착화된 것에서 많이 벗어나 자유로웠지요. 항상 상황에 맞게 그때그때 맞춰서 대응해야 했으니까요. 반면 한국, 중국등의 농업국가는 정주형이기 때문에 대부분 태어난 자리와 역활에 따라 평생을 보내야 했습니다. 그러다보니 아무래도 고정관념, 상황에 순응하는 기질이 고착화될 수밖에 없었죠.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아무래도 한족 등 단일민족 국가의 경우 폐쇄적일 수밖에 없는데, 다른 문화가 유입되면 소위 자국 문화가 위협 받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고, 오히려 유목민족은 이런 게 약하기 때문에 보다 개방적이고 교역이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