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바다위의소금쟁이
바다위의소금쟁이

우리나라에 이모작의 시작은 언제부터였나요?

우리나라는 옛부터 농경사회였고 이모작이라는 농사법이 발달한 이후부터 경작량이 확 늘었는데 이모작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모작은 대략 16~17세기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이모작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7세기 초 허균(1569~1618)이 편찬한 『한정록』에 수록된 벼와 보리를 이모작했다는 기록이있습니다. 주로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남부 지역에 비해 기후가 농사에 불리한 경기도의 일부 지역에서 시행되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모작은 같은 경작지에서 1년에 벼와 보리를 이어 농사짓는 농법입니다.

    우리나라 이모작의 기원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아마도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에 인구증가와 더불어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15세기 <농사직설>이나 <금양잡록> 등 중요한 농서에 논의 이모작에 관한 기록이 없으나 17세기 초에 허균이 편찬한 <한정록>의 치농조에 비로소 보리를 논의 이모작으로 재배한다는 기록이 있어 아마도 조선 후기 본격화 되었을 것으로 봅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모작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7세기 초 허균(許筠, 1569~1618)이 편찬한 『한정록(閑情錄)』에 수록된 벼와 보리를 이모작하였다는 기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