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양인들의 구성은 어떻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조선시대에는 신분이 크게 양인과 천민으로 나뉘었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양인도 다시 나뉘었다고 하는데 양인들의 구성은 어떻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는 양인과 천민을 나누어 양천제 사회라고 부르는데요. 양인은 다시 양반, 중인, 상민으로 나누게 되죠. 양반은 관리를 지내면 후대까지 양반 집안이 되는 세습적인 계급이며, 중인은 서얼을 중심으로한 양반에서 약간 부족한 계급이라 보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상민은 대부분 농민이나 상인으로서 조세 공납 역 등 조선의 기반이 되는 계급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조선 초기에는 양민과 천민, 이원화로 신분제도가 구성되어, 천민을 제외하고 양인이면 과거에도 급제할 자격이 주어지고, 기본적으로 조선의 신민으로서의 하나의 백성이라는 게 인정되는 겁니다. 따라서 천민이 할 수 없는 모든 권리들이 주어지긴 했죠.
따라서 양반과 평민을 다 합쳐 양인이라는 개념으로 조선 초기때는 정의되었습니다.
하지만, 사실상 과거를 보는 것도 그렇고, 뭔가 좀 높은 위치에 가고자 한다면 돈이나, 혹은 연줄 등이 튼튼해야 겠죠. 따라서 과거에 응시하여 벼슬을 하고, 관리가 되는 건 보통 양반들이 그 핏줄에 그 핏줄을 유지하면서 그것이 점차 세월을 따라 굳어지죠.
그래서 조선 중후기로 가면 양반 양민 천민 이렇게 3신분으로 굳어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따라서 조선 초기의 양인이라는 것은 양반과 일반 평민을 다 포함하는 말이었지만, 후기에는 양반과 백성이 딱 구분이 되는 현상을 보이는 것입니다.
조선시대 양인은 자유민으로 국역을 부담하는 계층입니다. 양인은 천인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과거 시험 응시와 관직 진출이 허용되었습니다. 이들은 조세, 공납 등의 의무를 지니며, 사회 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양인은 최고 계층인 양반과 기술관, 서리, 향리, 남반과 서얼의 중인이 있습니다. 그리고 상민에 해당하는 농민, 수공업자, 상인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