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끝까지희망을주는찜닭
끝까지희망을주는찜닭

대한민국 환율이 너무 걱정됩니다..

안녕하세요

대한민국 환율이 올라간다는것은 결국 국가경쟁력이 그만큼 떨어지고 있다는 반증인데,

이 하락세가 쉽게 멈출거같지 않아 걱정입니다.

전문가님들은 향후 전망을 어떻게 보시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경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근 원화 가치 하락에 대한 우려가 크시군요. 원화 약세는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이에 대한 전문가들의 분석과 전망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원화 약세의 주요 원인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한국은 에너지와 원자재의 수입 의존도가 높아,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시 교역 조건이 악화되어 원화 가치 하락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중국 경제 의존도: 중국 경제의 둔화는 한국 수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원화 약세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미국 통화정책 변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상 등 긴축 정책은 달러 강세를 유발하며, 상대적으로 원화 가치를 하락시킵니다.

    국내 정치적 불안정성: 최근의 정치적 불안정성은 투자 심리를 위축시켜 원화 약세를 가중시킬 수 있습니다.

    2. 향후 전망

    단기적 변동성 지속 가능성: 국내외 경제 및 정치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단기적으로 원화의 변동성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중장기적 안정 가능성: 국제 원자재 가격 안정, 중국 경제 회복, 미국 통화정책 완화 등이 이루어진다면 원화 가치도 점진적으로 안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전문가 의견

    신한투자증권: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원화, 채권, 주식의 약세 가능성이 있으나, 금융당국의 시장 안정화 조치로 변동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합니다.

    KB국민은행: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기대와 당국의 개입 경계로 환율 하락이 예상되며, 달러/원 환율은 1,390~1,398원 범위에서 움직일 것으로 보입니다.

    4. 대응 방안

    정부 및 금융당국의 역할: 시장 안정화 조치를 통해 환율 변동성을 완화하고, 경제 펀더멘털 강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해야 합니다.

    개인의 대비책: 환율 변동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외 자산 투자, 환헤지 상품 활용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원화 약세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이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대응이 필요합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해주세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현재 우리나라 내부적인 이슈,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 등의 불확실성 대두로 1,400원을 돌파한 상황인데, 환율도 소위 마냥 오르지만은 않기 때문에 이런 불확실성이 없어지면 어느 정도 안정될 것으로 보이긴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미국의 달러 발행량보다

    우리나라의 원화 발행량 등이 더 많은 등

    현재 우리나라의 정치적 상황도 불확실성이 크기에

    이에 당분간 달러 강세가 이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오늘 결국 탄핵안이 부결되었기 때문에 월요일에 환율 시장이 열리면 한 번 더 흔들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 그 뜻은 외국인이 원화자산을 모두 던지고 외화로 바꾸어 국내 시장을 떠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 그 이유는 현재 우리나라 대통령이 다음에 무슨 짓을 할지 예상이 안가는 만큼 위험성이 높은 국가에

      더이상 투자할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 환율은 단기적으로 다시 1,450원을 트라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