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인간의 치아는 왜 2번 밖에 안나올까요? 과거 인류의 조상도 그랬나요?
인간의 치아는 왜 2번 밖에 안나올까요?
과거 인류의 조상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부터 호모 사피엔스까지 마찬가지로 치아가 2번만 나왔나요?
아니면, 진화를 거듭하면 바뀐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의 치아는 주로 유치기(어린이 시기)에 처음으로 나오고, 성장과정에서 청소년기에 영구치로 교체됩니다. 이 과정에서 유치치아(임시치아)는 뿌리가 흔들리고 떨어지며, 영구치아가 그 자리를 대체합니다. 이러한 과정으로 인해 인간은 일반적으로 각 치아 종류당 2번씩 나오게 됩니다. 인간의 조상들은 사람과 다른 종들과의 진화 및 적응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아를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인간은 잘 개발된 다른 구조와 기능을 가진 치아를 갖는 것보다 2번의 치아 교체 주기를 가지는 것이 생존 및 번식에 더 이점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러한 적응 과정에서 인간의 치아는 2번의 치아 교체 주기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유전자 때문입니다. 염색체가 그렇게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만일 복원이 가능한 텔로미어를 갖고 태어난다면 계속 치아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이 분야도 상당히 발전된 상태이며, 황우석 박사가 하는 복제의 진보된 분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