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서 피검사랑 복부ct,초음파를 받았는데
병원에서 복부ct,초음파,피검사를 했는데 당화혈색소와 혈당은 정상수치지만, 간수치가 높고, 지방간이 많다고 해요 일단 당뇨는 아니고, 간경화,간암이 아닌거는 확실한건가요?저는 간수치,지방간에만 문제있다 듣고, 우선 약 처방만 받았어요 병원에서 ct검사끝나면 보통 간경화,간암인지 아님 의심인지 다 말해주나요?
질문자님의 글 내용만 놓고 정확히 어떠하다 이야기를 하기는 어렵습니다만 병원에서 혈액 검사, 복부 초음파 그리고 CT 검사까지 진행을 하였고 간 쪽으로는 지방간 정도의 소견만 들었다면 간경화나 간암의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해당 검사들을 통해서 충분히 의심해 볼 수 있는 문제들이며 그러한 문제들이 있다면 병원 측에서 알려주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강한솔 의사입니다.
CT·초음파·혈액검사를 모두 시행했고 당화혈색소와 혈당은 정상, 간수치 상승 + 지방간 소견만 들으셨다면, 현재 정보로는 다음처럼 정리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입니다.
1. 간경화·간암 가능성은?
CT와 초음파는 간경화·간암을 확인하는 기본 검사입니다.
이 두 검사를 모두 하고 의사가 별말 없이 지방간만 언급했다면, 보통은
간경화 소견 없음 / 간암 의심 없음으로 판단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간경화나 간암이 의심되면 대부분 즉시 말해주고 추가검사(혈액·추적 CT·MRI)를 권합니다.
특별히 말해주지 않았다면 “이상 없음”으로 봐도 무리가 없습니다.
2. 왜 간수치·지방간만 문제라고 했을까?
20대 남성에서 간수치 상승과 지방간이 함께 나오면 가장 흔한 원인은 다음입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NASH 포함 가능성)
음주성 지방간
단기간의 과식, 체중 증가, 운동 부족
약물·보충제 영향
즉, 지금 단계에서는 ‘지방간으로 인한 간 기능 이상’으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3. 추가로 확인해야 하는 경우
아래 항목 중 해당되는 게 있다면 주치의가 따로 설명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CT에서 결절, 혹, 혈관 이상이 보인 경우
초음파에서 경변(딱딱함), 거친 에코 패턴이 보인 경우
혈액검사에서 AFP 상승(간암 표지자)
이런 게 있었다면 거의 반드시 설명합니다.
4. 결론
현재 검사 조합과 진료 흐름을 보면
→ 간경화·간암은 의심되지 않는 상황으로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지방간 + 간수치 상승이 주요 문제이며, 의사가 그 부분만 설명했다면
CT·초음파에서 다른 우려 소견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혈액검사와 복부ct,초음파 검사를 하였군요
혈액검사 결과를 벌써 들으셨다는 말씀이죠?
그렇다면 복부초음파의 경우도 아마도 소견을 바로 말씀하셨을 것 같습니다.
복부초음파상 간암이나 간경화 소견은 뚜렷하게 보이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이 되지만
지방간이 심했다면 복부초음파 해상도가 상당히 떨어질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복부CT의 경우 초음파에 비하면 잘 보이고 특히 지방간이 심했다면 훨씬더 복강내 장기를 관찰하는데
수월했을 것입니다. 단지 CT의 경우 영상의학과에서 별도로 판독을 하기 때문에 이 소견을 작성할 때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대부분 1주일전후도 정식 판독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간경화의 경우, 별다른 이야기가 없는 것으로 보아서 간경화 가능성은 떨어질 것 같습니다. 간경화의 경우 영상검사뿐만이 아니라 혈액검사에서도 어느 정도 clue가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B형간염이나 C형간염과 같은 바이러스성 간염 그리고 알콜성간염의 경우를 제외하면 간경화의 빈도는 상당히 낮습니다.
간암의 경우 역시 비록 CT 판독을 없었다고 하더라고 대부분 간경화에서 간암이 발생을 하기 때문에 현상황에서
간경화의 가능성이 높지 않기 때문에 간암의 가능성도 상당히 낮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복부CT를 촬영하고 나서 영상의학과 판독이 나오기 전에 본인이 아는 한도에서 CT를 설명하시는 분이 있고
응급상황이 아니라면 영상의학과 판독을 확인하고 그것을 환자분에게 전달/설명하시는 경우가 있는등 이는
선생님들 성향에 따라 다릅니다. "아니 빨리빨리 알려줘야지 그걸 왜 묵혀놔?" 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의료정보는
정확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지금 당장" 처치를 하지 않으면 경과가 너무 차이가 나는 경우를 제외하면 정확한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정석입니다. 이 경우는 CT 판독이 되겠지요
따라서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판독소견이 나올 때까지 기다리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