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거래소 같은금액으로 매수매도가 되고있는건 뭔가요?

거래소보다보면 어떤 종목에서 같은가격으로 매수매도가 반복적으로 매크로마냥 되고있던데

이건 누가 프로그램쓰는건가요?

아니면 거래소자체기능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최현빈 경제전문가
    최현빈 경제전문가
    경제연구소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프로그램 매수매도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 1주 혹은 2주씩 빠르게 매도되는 것도 있고 같은 수량으로 매수매도를 하는 케이스도 있는데

      이는 프로그램 매매에 해당합니다

    • 일반적으로 ETF의 자산을 시세에 맞추기 위한 조정을 할 때도 비슷한 방법을 활용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같은 가격으로 매수 매도 반복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마도 봇이거나 실제 매크로돌리는 프로그램 등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거래소 자체 기능은 아니고 누군가 매크로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자동으로 매수, 매도를 하도록 설정해놨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정 물량을 사거나 팔려는 의도가 있을수도 있고, 이목을 끌으려는 의도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거래소에서 특정 종목의 매수와 매도가 같은 가격에서 반복적으로 이뤄지는 상황은, 대부분 일반 사용자나 기관투자자가 사용하는 프로그램 또는 거래서 자체적인 유동성 공금 시스템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먼저 트레이딩 봇 사용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근 많은 투자자, 특히 기관이나 고빈도 트레이딩을 전문으로 하는 이들은 알고리즘 기반의 트레이딩 봇을 활용합니다.

    이러한 봇은 사전에 정해둔 조건을 만족하면 자동으로 매수나 매도를 실행하며, 아주 짧은 시간 간격으로 같은 가격에서 반복적으로 거래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봇은 매수와 매도를 번갈아 하며 가격 차이를 이용해 수익을 얻기도 하고, 시장 참여자들에게 꾸준한 거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일부러 빈번한 매수.매도를 실행하여 거래량을 늘릴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세력이 가격대를 유지하거나 시장 움직임을 인위적으로 유도하려는 의도로 사요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거래소 자체에서 개입하는 경우입니다.

    일부 거래소는 MM(마켓 메이커)이나 유동성 공급자 프로그램을 통해 인위적으로 매수와 매도를 만들어내며 시장을 활발해 보이게 하고, 유동성을 끌어올리는 전략을 씁니다.

    이런 방법은 특히 거래량이 적은 종목이나 신규 상장 종목에서 더 빈번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반복적인 패턴은 일반 투자자들에게 착시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이 안정적으로 보이거나 이 종목이 안전하다.라는 잘못된 신호를 주어 매수나 매도에 영향을 미치려는 전략일 수도 있습니다.

    또한, 그런 행위에 시장 조작 의도가 숨어 있다면, 거래소가 이를 제대로 감시하지 않고 방치할 가능성도 아예 배제할 수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동일 가격대에서 반복되는 매수.매도는 대부분 프로그램 사용이나 거래소 유동성 공급책의 결과일 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시장 조작이 이뤄질 여지도 존재하는 만큼, 해당 종목을 거래할 때는 이러한 가능성을 염두해 두고 신중하게 접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